매일신문

장기수 송환 남북 입장

내달 초 비전향 장기수 63명의 북송을 앞두고 남북이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대한 조용히 보내려는 남측과 달리 북측은 대대적인 선전전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 송환자의 북송 절차와 명단발표에서도 큰 대조를 보였다. 북측은 23일 전통문을 통해 직항로를 통한 송환방식을 제의한데 이어 비전향 장기수의 가족들도 송환돼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또 24일에는 일방적으로 송환자 명단을 발표하기도 했다. 우리측은 북측의 명단발표를 접한후 마지못해 명단을 공개하는 해프닝을 벌였다.

24일에 북측은 조선중앙방송, 노동신문 등 언론매체를 총동원해 붐 조성에 나섰다. 이번에 북송되는 비전향 장기수들을 '투사' '애국자'로 묘사하면서 대대적인 환영분위기를 연출했다. 고질적인 북한의 체제선전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

이에 우리측이 딜레마에 빠졌다. 비전향 장기수의 송환 자체가 인도적 차원의 문제이기는 하지만 자칫 북측의 환영분위기에 동조할 경우 우리 사회 내에 논란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비전향 장기수 63명은 북한 입장에서는 '전사'일지 모르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체제전복을 노려 간첩활동을 했던 사람들이다. 당장 야당과 관련단체에서는 비전향 장기수 문제를 국군포로 및 납북자 문제와 연계하지 않은데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지난 23일 북측이 보낸 비전향 장기수의 가족 송환을 주장한 전통문을 은폐했다 들통이 난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때문에 정부는 비전향 장기수 북송문제에 대해서는 최대한 분위기를 가라앉히려 하고 있다. 이들의 북송은 특히 최대현안인 면회소 설치와도 연계돼 있다. 지난 93년 이인모씨 북송 당시 훈령조작 사건으로 판문점 면회소 설치가 무산된 예를 보더라도 정부 입장에서는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다.

李相坤기자 lees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