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초 서양 열강은 일본 근해까지 출몰해 직접 교역과 개방을 요구해 왔다. 당시 일본 막부 정부는 철저한 쇄국정책을 고수하고 있었다. 그 와중에 '나마무기 사건'(사쓰마 번 무사들이 요코하마에 거류하던 영국 상인들을 살상한 사건), 페리 내항 등 충격적인 사건들이 일어나고, 서양과 치른 몇 번의 작은 전쟁에서 패배한 일본은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바꿔 버린다. 서양에게 졌다고 자각하는 순간 쇄국의 이데올로기였던 '존왕양이(尊王攘夷)론'을 버리고 막부를 몰아내는 메이지(明治) 유신을 단행한다.
메이지정부는 서양문물을 받아들이기 위해 유럽과 미국으로 유학생을 보내고 시찰단을 파견했다. 그러나 유학이나 견학 이상으로 일본의 근대화에 큰 영향을 준 것은 '책'이었다. 서양에 대한 정보나 지식을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일본어로 번역한 책들이 봇물처럼 쏟아져 나왔던 것이다.
'번역과 일본의 근대'(이산 펴냄)는 일본 근대화의 원동력인 '번역 문화'를 대화형식으로 되짚어본 책이다. 저자는 일본 지성계의 흐름을 주도했던 정치사상가 고(故)마루야마 마사오와 비평가이자 작가인 가토 슈이치. 두 사람의 심도 깊은 대화를 책으로 엮은 것이다.
당시 지식인들에게 자국어보다 한자가 더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었다. 그런데 17세기말 일본에서 최초로 중국어를 외국어로 의식한 인물이 등장한다. 오규 소라이(1666-1728). 그는 '논어'를 일본식으로 바꿔 읽을(번역할) 때만이 그 의미를 제대로 흡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바로 이런 문제의식을 통해 번역의 필요성이 대두됐고, 번역을 통해 자신의 언어적 정체성을 자각했다.
이런 의식이 기초가 되어 메이지 초기 서양문화를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번역밖에 없다는 번역주의가 팽배해졌고 수많은 번역서들이 양산되었다. 이 무렵 번역주의보다 훨씬 과격한 주장이 제기되었다. 모리 아리노리가 '영어 국어화론'을 주장한 것이다. 일본어에는 추상어가 없기 때문에 일본어만 가지고는 도저히 서양문명을 일본 것으로 만들 수 없으므로 영어를 국어로 하자는 주장이었다. 물론 당연히 수용되지 않았지만 당시로는 큰 파장을 불러 일으켰다.
메이지 시대에 과연 어떤 책들이 얼마만큼 번역되었을까. 메이지 유신이후 불과 6~7년 사이에 수만 권이 번역되어 나왔고, 분야도 다양해서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 번역이 이뤄졌다. 특히 역사, 지리, 법률, 정치, 화학과 관련된 책이 많았다. 대표적인 사례로 나카무라 마사나오가 J. S. 밀의 '자유론'을 번역한 '자유지리(自由之理)'와 막부 말기의 베스트셀러인 헨리 휘턴의 '만국공법(萬國公法)'을 손꼽을 수 있다. '만국공법'은 서양의 법률용어를 당시의 일본인들이 어떻게 한자어로 번역해냈는지를 잘 보여줄 뿐 아니라 베스트셀러가 되었다는 사실에서 근대 세계에 대한 일본인들의 발빠른 대응을 엿볼 수 있다.
당시 일본사회는 외국어를 일본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고민과 시행착오를 했으며 심지어 오역의 과정도 거쳤다. 특히 번역어로 사용되는 한자어를 만들어낸 사람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사람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이었다고 저자들은 말한다. 후쿠자와가 번역한 것 중에는 스피치(speech=演說), 세컨드(second=贊成), 디베이트(debate=討論), 카피라이트(copy right=版權) 등이 있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함축적인 대화를 통해 번역과 근대의 문제를 빠짐없이 언급하고 있다. 즉 번역이 단순한 어학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언어의 문화를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이라는 점을 일깨워주고 있다.
徐琮澈기자 kyo425@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