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울산.진해등 동남해안,환경호르몬 다이옥신 검출

【부산】포항.울산.진해 등 동남연안 해역 퇴적물에서 환경호르몬인 다이옥신이 검출됐다. 이같은 사실은 24일 국립수산진흥원 환경관리과 연구팀이 오는 27, 28일 서울대에서 열릴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발표회에서 발표할 「한국 남동해안 퇴적물 중 다이옥신류의 분포특성과 진해만 울산만 퇴적물 중 폴리크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s)농도분포」라는 논문에서 밝혀졌다.

이 논문에 따르면 다이옥신류는 포항, 부산, 진해, 울산해역에서 각 해역별 5개 정점씩 총 20개 정점을 선정, 지난 2월부터 조사한 결과 포항연안이 4.4∼8.6pg-TEQ/g(1pg-TEQ/g는 독성등가값으로 1g당 1조분의 1g)으로 가장 높게 검출됐다.

부산연안은 1.2∼5.9, 진해연안 0.5∼3.2, 울산연안이 0.5∼1.2pg-TEQ/g으로 각각 나타났다. 환경호르몬인 PCBs의 경우 진해만이 미검출∼30.96ng(10분의1g), 울산만 미검출∼34.50ng로 비슷한 분포였다.

PCBs는 퇴적물의 수직분포조사에서는 주로 표층에서 보다 6∼10cm층이 더 높은 농도로 최근보다는 지난 70, 80년대 오염도가 더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국내연안의 다이옥신과 PCBs의 검출량은 현재까지 해저퇴적물중의 다이옥신류에 대한 기준은 없으나 여건이 비슷한 외국보다는 훨씬 낮게 나타났다.

또한 주요 공업지역인 울산만이 진해지역보다 오히려 낮게 나타난 것은 이 지역 퇴적물의 입자크기 등 해역특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다이옥신류는 주로 도시쓰레기 소각로의 연소과정, 농약류 등 각종 산업공정에서 생성되는 맹독성 물질로 발암성.생식기능 이상 등에 영향을 끼치며 PCBs는 트랜스나 콘덴서의 절연류.열매체 등에 사용되며 전세계적으로 지난 70년대말부터 사용 금지된 물질로 해양.대기 등에 장기간 잔류하는 특성때문에 현재도 계속 검출되고 있다.

수진원 관계자는 『국내 연안의 환경호르몬 검출량이 외국과 비교하면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환경호르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치명적인 만큼 지속적인 감시와 저감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원기자 seagull@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