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과의 매각협상이 진행중인 대우자동차가 6일 1차 부도를 내면서 최종부도 사태라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7일 대우차가 결제한다고 해도 9일까지 매일 300억∼400억원씩의 어음을 막기에는 역부족일 것으로 보여 특단의 조치가 없는 이상 최종 부도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대우차 경영진은 채권단 자금지원의 열쇠가 될 노조의 자구계획 동의서를 받기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지만 노조의 입장은 완강한 상태다.
◇풍전등화의 대우차= 대우차는 6일 서울은행에 돌아온 어음 204억원을 포함해 서울.제일은행에 만기가 된 물품대금 어음 441억원을 결제하지 못해 1차부도를 냈다.
이는 엄낙용 산업은행 총재가 지난 4일 밝힌 "노조가 자구계획에 동의하지 않는한 자금지원이 어렵고 부도처리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경고가 '허언'이 아님을 그대로 보여준 것이다. 해당 은행 관계자는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라고 말해 7일 오후 4시30분까지 막지 못하면 최종 부도처리할 것임을 시사했다.
산은 관계자는 "대우차에 신규자금을 지원하려면 전체 채권 금융기관 협의회를열어야 하지만 그럴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다"고 밝혀 자금지원 가능성도 배제했다.문제는 이번 1차 부도를 막더라도 7일 300억원, 8일 320억원, 9일 350억원, 13일 240억원 등이 줄줄이 결제를 기다리고 있다는 점이다.
대우차 경영진은 6일 오후 3시부터 회의를 열었으나 자구계획에 대한 노조의 동의서 외에는 해답을 찾지 못한 채 "노조와의 협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우차 임원은 "채권단 지원 없이는 부도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부도 여파= 최종 부도가 날 경우 법정관리의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돼 그 파장은 관련업계 전반에 걸쳐 태풍으로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8월 이후 계속된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은 중단되며 채권은행이나 대우차가 법정관리 신청을 내면 법원이 이를 검토해 수용 여부를 가리게 된다.
법원이 법정관리 신청을 받아들일 경우 지정한 관리인이 나와 회사 경영을 맡겠지만 기각하면 '빚잔치'에 해당하는 청산 절차를 밟아야 한다. 법정관리 신청과 함께 모든 채권과 채무를 동결하는 재산보전처분 신청도 동시에 들어가면서 채권단도 채권 행사에 제동이 걸리게 된다. 문제는 대우차에 그치지 않고 1,2,3차로 내려가는 협력업체의 연쇄부도. 대우차의 협력업체는 1차만 504개에 종사인원도 30만명에 육박하고 2차와 3차까지 합할 경우 숫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9천360개 업체에 달한다.
그러나 법정관리도 여의치 않다는 관측도 많다. 법원은 존속가치와 청산가치를 따져 존속가치가 높은 경우 인가결정을 내리지만 매달 1천억원 이상의 운영자금이 필요한 대우차의 경우 청산가치가 더 높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GM과의 협상에는 큰 타격 없을 듯= 최종 부도를 내고 법정관리 신청을 하더라도 법정관리 인가 여부를 결정할 때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만큼 GM과의 매각협상은 계속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대우차 관계자는 "기아.삼성차도 법정관리를 거치면서 매각한 만큼 큰 지장은없을 것"이라면서 "그러나 채권단의 협상력 저하나 생산 중단에 따른 기업가치 하락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대우자동차 노사가 7일 새벽부터 서울 서초구 팔래스호텔에서 자구계획 동의서를 놓고 접촉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접촉에는 이종대 회장과 김일섭 노조위원장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차는 이날 오후 2시 제3차 긴급 노사협의회를 앞두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