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체적 난국에 빠진 대구사회에 '지도층'이 없다.
IMF이후 급격한 경제 몰락과 사회분위기의 침체로 대구 전반이 표류하고 있지만 대구시를 비롯 유관 기관, 상공인, 정치인이 머리를 맞대고 타개책을 모색하는 모습은 단 한차례도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대구시는 유례없는 위기상황을 수습하고 대구사회의 총화를 이끌어내려는 주도적 책임을 외면, 오히려 '안이한 현실인식'에 안주하고 있다는 비판이 드세지고 있다.
현재 대구는 어음 부도율, 수출 감소, 산업생산지수 등 각종 경제 지표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고, 법정관리 자산규모가 3조3천억원을 넘어서면서 서울 다음을 차지할 만큼 암울한 상황이며, 다시 대량실업사태 우려로 사회전반이 불안감에 휩싸이고 있다.
이러한 비상한 시국속에서 문희갑 대구시장은 물론 상공회의소 회장, 각급 행정기관, 정당, 각 사회단체 등 이른바 지도층 인사들은 경제회생, 실업대책, 대구의 활로에 대해 전혀 관심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산적한 난제들에 대한 해법이 없는 탓인가.
오랫동안 대구 80여 주요 기관.사회단체장들이 한달에 한번씩 정례회동을 갖고 지역현안을 논의하던 '목요회'는 지난해부터 사라졌으며, 상공인들이 주축인 '대구발전동우회' 역시 부도사태로 위축 상태다.
게다가 문 시장과 채병하 대구상의 회장은 민선단체장과 경제계 수장의 협조관계를 포기, 오랜 감정적 반목으로 오히려 경제계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영평 대구대 교수(자치행정학)는 "지역경제가 파탄지경에 이르렀으나 이를 헤쳐나갈 구심점이 없다. 대구시정의 책임자가 지역 상공인, 학계, 시민단체 등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대책협의회'를 구성해 난관을 풀어나가야 한다. 중앙정부에서도 지역경제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만큼 지역의 자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노동일 교수(경북대 정치외교)는 "늦었지만 이제부터라도 지역 경제가 당면한 상황을 총괄적으로 인식하고 나아갈 방향을 지도층들이 모색하고 제시해야 한다. 지도층 각자의 주관적이고 피상적인 생각과 독단에서 벗어나 서로 지혜롭게 협력하는 풍토 조성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섬유업계 한 간부는 "시장의 역할부재론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개인적인 스타일에만 집착할 게 아니라 지금이야말로 다양한 지역 여론에 귀기울이는 포용력이 필요하고 위기 타개를 위해 각계와 교감하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주문했다.
대구경실련 조광현 실장은 "산업구조 개편 등 장기적 방안 마련도 급하지만 대구의 여론지도층이 다시 한번 화합, 협력해 경제 회생에 앞장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사회1부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