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가운데 임시.일용직 등 비정규직의 비율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임금 수준은 정규직의 60~7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기관별로 비정규직의 정의 및 규모 등이 크게 달라 비정규직 보호대책 마련에 앞서 구체적인 실태조사와 원인 규명 등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14일 오후 한국경영자총협회 주최로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사옥에서 열린 '비정규직 근로자 증가와 보호대책' 토론회에서 한국노동연구원 안주엽 박사는 통계청 자료를 인용, "비정규직의 비중은 IMF 경제위기 이후 급상승, 지난해 11월 53%를 기록한 뒤 올들어 8월 현재 52%로 줄었으나 여전히 높은 수치"라고 지적했다.
비정규직의 비율은 특히 여성(70.2%), 15~24세(64.7%) 및 55세 이상(73.7%), 고졸 미만(78.7%), 농림어업(91.7%) 및 건설업(74.8%), 단순 노무직(84.8%) 및 서비스업(81.2%) 등에서 높았다.
그는 또 "비정규직은 교육수준과 경력 등이 임금 결정 과정에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임금 수준이 상용직의 60~7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