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내버스 구조조정 '삐걱'

대구시가 추진해온 버스요금 인상 억제와 버스업계 구조조정을 통한 서비스 개선이 시의회의 관련 조례 부결로 차질을 빚고 있다.

시는 인수.합병.면허취소 등을 통해 부실 버스업체를 퇴출시키는 대신 우수업체는 예산을 지원, 서비스 개선을 유도하는 한편 버스요금 인상을 억제키로 했다.

이를 위해 대중교통운송사업 지원조례안을 지난 17일 시의회에 상정했으나 시의회는 버스업계의 자구노력 미흡과 대구시 재정난을 이유로 부결시켰다.

시에 따르면 지역 32개 버스업체중 16개업체가 누적적자에 따른 자본잠식상태이며, 흑자업체는 6개에 불과하다.

더욱이 업체난립으로 업체당 평균 버스보유대수가 서울의 절반정도인 54대에 불과해 구조조정을 통한 버스업계의 체질이 개선되지 않으면 시내버스 서비스 개선도 요원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시는 대중교통운송사업 지원조례를 제정, 올해부터 2년간 업계의 자율적 구조조정을 거쳐 2003년부터는 강제적 구조조정을 통해 16~17개의 부실업체를 퇴출시키고 나머지 업체는 재정지원을 통해 대중교통을 활성화시킬 계획이었다.그러나 시의회의 조례안 부결로 버스업계의 구조조정 계획이 차질을 빚어 시내버스 서비스 개선이 지체되고 버스업계의 요금 인상요구가 재연될 전망이다.

대구시 대중교통과 관계자는 "버스업체들이 서비스 개선은 뒷전인 채 요금인상으로 경영악화를 해결하려고 하고있어 적자노선에 대한 보조금 입찰제 및 황금노선에 대한 노선입찰제를 시행해야만 서비스개선과 요금인상 요구를 억제할 수 있다 "며 "내년에 다시 조례안을 의회에 상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종규기자 jongku@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