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를 짓고 있는데 얼마 전 초등학생 딸이 학교 운동장에서 운동을 하다가 손을 다쳤다. 연락을 받고 허겁지겁 학교에 가보니 딸은 아파서 우는데 양호교사가 없어서인지 체육교사가 간단히 응급처치를 해둔 상태였다. 근처에는 병원이 없어서 할 수 없이 읍내 병원까지 경운기로 데려갔다. 무사히 치료를 받았지만 농촌초등학교에는 왜 양호교사가 없는지 답답했다.
병원까지 따라온 체육교사는 "교육법 시행령의 양호교사 배치기준에 따라 초등학교의 경우 18학급이상이어야 양호교사를 배치하게 돼 있어 대부분 농촌학교는 그 규모에 못미쳐서 양호교사를 배치할 수 없다"는 설명을 들었다.
순간 "말도 안 되는 교육행정이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나라 초등학교의 80%이상은 도서벽지, 농어촌 오지에 위치한 소규모 학교이고 주위 의료환경 또한 너무나 열악해서 병원은 물론 약국도 없어 의료시설이 전무한 곳이 너무나 많다. 병원이나 약국을 가려면 수십리 산길, 뱃길을 가야 겨우 찾을 수 있는 곳도 있다.
반면 도시학교는 한집 건너 병원 약국이다. 따라서 양호교사는 도시보다 농촌 벽지 소규모 학교에 우선적으로 배치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학생수 만을 가지고 양호교사 배치를 결정하는 것은 도농간의 형평성을 무시한 탁상행정의 본보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박희정(청도군 화양읍)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