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AI 데이터센터 최적지는 전력 풍부한 '경북 동해안'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오픈AI' 포항, '삼성전자' 구미 왜 선택했겠나
정부, GPU 20만장 확보 목표…5마장 설치 112MW 이상 필요
수도권 인프라 이미 포화 상태…원전 인접한 지역 대안 떠올라

OpenAI.삼성 AI데이터센터 조감도
OpenAI.삼성 AI데이터센터 조감도

정부가 2030년까지 최대 20만장의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를 목표로 세운 가운데, 전력 등이 부족해 GPU 물량을 수용하기 어려운 수도권 대신 풍부한 전력을 갖춘 경북 동해안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당장 도입을 추진하는 GPU 1만3천장 배치는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이후 추가 물량은 효율적인 수용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밝혔다.

문제는 수도권에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가 몰려 있다는 점이다. 실제 우선 도입 GPU 분량은 NHN클라우드·카카오·네이버 등 주요 클라우드 사업자의 데이터센터에 배치되고 있다. 내년 도입 목표인 GPU 2만장을 데이터센터에 설치하기 위해 최소 전력 30∼40메가와트(MW), 5만장 설치에는 112MW 이상의 전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발열이 심각한 AI 데이터센터의 경우 냉각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다. 그러나 현재 수도권 데이터센터의 대부분은 저밀도 공랭식 구조로 설계돼 고밀도 전력, 고효율 냉각을 요구하는 최신 AI 서버에 적합한 구조를 갖추기 힘든 상황이다.

부동산 자문업체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서울 데이터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수도권 데이터센터의 공실률은 7% 미만으로 사실상 포화 상태다. 고밀도 전력(20∼40kW)과 고효율 냉각을 지원하는 상면(설치 공간)은 전체의 5% 미만으로 추정된다.

이런 한계를 타개하기 위해 데이터센터를 분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와 인접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한 경북이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 포항은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와 NeoAI Cloud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글로벌 AI데이터센터 건립지로 선정되며 AI거점 도약의 잠재력을 입증했다. 연구개발 인프라는 물론 울진 원전과 연계도 최적의 조건으로 꼽힌다. 삼성전자가 구미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설립을 추진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업 PwC컨설팅은 'AI 데이터센터 사업 기회' 보고서에서 "폭증하는 생성형 AI 사용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AI 데이터센터의 구축과 확장은 지속될 것"이라며 "앞으로는 도심, 지방별로 다양한 형태의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기 위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