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가로수, 상록활엽수로 교체

'낙엽의 낭만도 좋지만, 너무 삭막하지 않나요'. 내년부터 겨울에도 푸른 잎이 무성한 가로수가 심어져 대구의 도심 풍경이 달라질 것 같다.

20일 대구시는 현재 가로수의 대부분인 낙엽활엽수 대신 상록활엽수를 매년 2천그루 이상 심어 나가기로 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대구의 가로수는 모두 31종 13만2천여그루. 수종별로는 양버즘나무(포플러)가 28.7%를 차지해 가장 많고, 은행나무(24.2%), 느티나무(16.4%)가 뒤를 잇고 있다.

전체 가로수의 98%를 차지하는 이들 낙엽수들은 단풍과 낙엽으로 시민들에게 낭만을 안겨주기도 하지만 겨울에는 앙상한 가지만 남는다. 현재 상록수는 동대구로·두류공원에 심어진 개잎갈나무(히말라야 시이더.1.83%), 광나무(0.13.상록활엽수)와 소나무(0.03%)뿐이다.

시는 이에 따라 지난 99년부터 제주도에서 도입해 대구에서도 월동이 가능한 지 여부를 실험중인 상록활엽수 16종 가운데 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녹나무, 후박나무, 후피향남, 아왜나무 등 6종의 내한성을 확인했다.

이정웅 대구시 녹지과장은 "올 겨울 노지 적응시험 결과에 따라 가로수 수종을 선정할 계획"이라며 "겨울도시에 푸른빛이 감돌게 되면 시민들의 표정도 한결 밝아질 것"이라 기대했다.

이상헌기자 dava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