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중립적 '정의관리' 내각을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이번주 중으로 조각(組閣)수준의 개각이 단행될 것이라 한다. 지금까지는 개각에 관한한 사전에 통고가 없었고 기습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상례였다. 그런 만큼 이번에 청와대측이 국정쇄신과 민심수습 차원에서 대폭 개각을 하겠다고 예고하고 나선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그만큼 김대중 대통령의 입장이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는 얘기다.

지금까지 3월쯤으로 개각을 미뤄오던 김대중 대통령이 이처럼 개각을 앞당긴것은 대통령 처조카의 비리에 겹쳐 경제수석의 이용호 게이트 개입사실이 터지면서 이대로 가다간 국정을 장악할 수 없는 상황으로까지 치달을 수도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됐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번 개각은 잇달아 터지는 '게이트 정국'을 '개각정국'으로 바꿔 민심을 수습하겠다는 국면전환용의 고육책으로 이해된다.

그런만큼 지난해 여름부터 국정쇄신 차원의 대폭 개각을 기대해온 우리로서는 솔직히 말해 때늦은 개각에 만시지탄의 느낌을 지울길 없다. 그러나 김 대통령이 이나마 민심이 이반된 시국현실을 인정하고 국정쇄신을 하겠다고 나선 것은 다행이라 하겠다.

들리는 바로는 의원 겸직 장관의 보건복지부, 산자부, 과학기술부, 행자부 등이 모두 교체대상이 되고 요즘 업무수행 능력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교육부도 개각대상이라 한다. 또 통일·외교분야도 교체가 점쳐지고 있으며 경제부처도 이기호 경제수석 퇴진과 함께 교체가 예상되고 있다는 것은 이번 개각의 폭을 가늠케 하는 단서가 된다 할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기왕에 대폭적인 물갈이를 할 바에야 이번에는 정치적인 색깔을 띠지 않는 인사들 중에 전문성이 높고 국민 신망을 얻을 수 있는 인사들이 기용되기를 바란다.

그렇게해서 새 내각이 각종 의혹사건을 마무리짓고 들쑤셔 놓은 국정을 매듭짓는 '마무리 내각'의 역할과 '중립 선거관리 내각'의 역할을 함께 하기를 기대한다. 일부 보도처럼 박지원 전 청와대 정책기획수석을 청와대비서실장으로 기용한다면 이 또한 새로운 정쟁의 불씨가 될 것임을 부연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