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간이역연착하는 기차를 기다리는 동안
철길 건너 들판이라도 볼까 해서
발돋움을 하는데
가지런히 잘라놓은 전나무 울타리
너무 높아
잘 보이지 않는다
무슨 자갈밭이었던가
마침 울타리의 한 구석 잘 자라지 못한 전나무들이 있어
움푹 들어간 사이로 들판을 본다
들판이 멀리 가까이 펼쳐져 있고
엷게 낀 아침 안개 속에
마을의 집들이 흐릿하다
참 사는 게 별게 아니어서
이 작은 풍경들로 가득해지기도 하는 것을
나는 혹시 혼자 그득해지고자
키 큰 전나무 울타리처럼
남의 시선이나 가리고 살았던 건 아닌지
때로는 키 작은 나무들의 한 생애가
훨씬 커 보일 때가 있다
-김진경 '키 작은 나무'
'객주'로 잘 알려진 소설가 김주영은 자신이 소설 쓰는 행위를 반성문 쓰는 일에 비유했다. 문학의 자기성찰 기능을 주장한 것이다. 좋은 문학은 기본적으로 자기성찰에 연결되어 있다.
이 시가 그렇다. 시골 간이역에서 기차를 기다리면서 겪은, 그야말로 아무것도 아닐 수 있는 키 작은 나무에서, 시인은 자신을 되돌아본다.'이 작은 풍경들로 가득해지는' 시인은 정말 얼마나 넉넉한 인간인가.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