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을 살리자-나노종합연구장비센터(나노팹) 유치 4파전이 치열해짐에 따라 이달초로 예정됐던 최종 발표가 계속 늦잡쳐지고 있다.
지역경제에 1조원 이상의 파급효과를 불러올 미래지향적 국책사업인 만큼 지역의 포항공대를 비롯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성균관대 컨소시엄 등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위해 전력투구하고 있음은 너무나 당연하다.
특히 대구.경북은 물론 부산.경남권은 88개 기관이 대대적으로 연대, 포항공대 유치를 위해 범영남권이 사활을 걸고 있다시피 하고있다.
우리는 지금 이 시점에서 '나노팹'의 포항공대 유치 당위성을 재삼 주장할 생각은 없다. 산업단지와의 근접성, 포항공대가 갖고있는 노 하우, 대구와 구미-포항-창원을 잇는 첨단 산업 삼각벨트 등 비교 우위 요인은 이미 객관적으로 인정을 받고있기 때문이다.
이제 남은 것은 선정과정의 '공정성'이다. 유치기관마다 유치의 당위성과 절대성을 내세우는 만큼 엄격한 잣대로 심사하지 않으면 그 후유증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경제성과 발전성에 대한 철저한 객관적 판단이 결여되면 또 하나의 '정치적 포퓰리즘'과 '지역주의'라는 사생아를 잉태하는 결과가 될 것은 뻔하다.
이런 터수에 심사평가위원으로 지역 관계인사가 한명도 참여하지 않았다는 것은 심사의 공정성에 심각한 의문을 던져주고 있다. 과학기술부가 진정으로 공정성 유지 의지가 있다면 지역인사를 골고루 참여시켜 '지역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순리가 아닌가.
처음부터 특정 기관을 점찍어놓고 다른 기관을 들러리 씌운다는 일부 비난도 선정의 불공정성에 대한 불만 표출이 아니고 무엇인가.
뒤늦게 당국이 이를 인지하고 내부 조사를 하고 있다니 다행이지만 최종 발표가 아무리 지연되더라도 백지 상태에서 평가위원의 공정성부터 확보해야 할 것이다. 지역민들도 나노팹 선정의 객관성 여부를 예의 주시해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