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건설교통위 국감자료에 따르면 같은 택지지구에서도 민간업체 아파트가 주공보다 13~40% 높게 분양돼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물론 여러 요인들로 인해 분양가가 천편일률적으로 동일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같은 지역에서조차 이처럼 격차가 난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아파트 건설원가는 택지비와 공사비 및 부대비용으로 구성된다. 수원.용인지구의 경우를 보면 민간업체의 분양가가 최고 134만원 이상 높아 가격편차가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가는 지역별로 평형에 따라 조심씩 다를 수는 있다.
도급공사의 낙찰률과 용적률.마감재를 비롯해 옵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상식을 벗어난 분양가 격차는 주공이 손해를 보면서 분양하는 것이 아니라면 민간업체의 폭리라고 밖에는 보기 어렵다.
서울 강남과 수도권 일원의 아파트 투기바람이 사회문제화되고 있는 시점이나, 재당첨 금지와 양도세 중과 등 부동산대책을 내놓았지만 그 약효가 얼마나 갈지 장담하기 힘든 상황이다.
때문에 아파트값에 대한 서민들의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는 시기이다. 민간아파트 분양가가 너무 높다는 지적을 주택당국은 새겨들어야 할 것이다. 지난 5월 아파트 분양가를 과다 책정한 업체가 국세청에 통보되는 사례도 있었다. 그런데도 분양가는 전반적으로 올랐다.
아파트값은 소재 지역의 생활편의성과 환경에 의해 좌우된다. 특히 학군은 빼놓을 수 없는 조건이 되어 버렸다. 어느 특정지역의 아파트값이 치솟아 버리면 이 가격이 빌미가 되어 대도시를 거쳐 전국적으로 유행병처럼 전염되는 것이 아파트 시세의 일반적 동향이다.
올 6월말 현재 서울지역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평당 966만3천원으로 집계되었다. 지난해보다 평당 200만원 이상이 올라 인상률 21.5%를 기록했다. 실로 하늘 높은 줄 모르는 가격인상이다.
안 그래도 내 집 마련하기 힘든 판에 이런 추세라면 아파트 한채 마련하는 것이 평생의 숙원사업이 될 수밖에 없다. 은행금리를 훨씬 상회하는 아파트값 인상률을 계산해보고 대출받아 집 사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는 것도 여기에 기인한다. 급기야는 도를 넘은 가계대출이 경제를 위협하는 것 아닌가.
당국은 우선 기존아파트값의 상승을 잡으면서 분양가의 적정여부를 다시 판단해 봐야 한다. 분양가 자율화 이후의 문제라해도 당국이 책임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당국의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오미숙(대구시 신기동)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