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제삿날이 아니어도
밥상에 대고 머리 조아리던 겨울 아침을 지나왔다.
아내와 아이
셋이서 아무 말 않고 엎드려 맞절하고
대문을 나서고 싶던 아침도 있었다.
그러나 끝내 말하여지지 않을 숱한 아침을
나는 붉은 햇살과 함께 가슴에 묻어두었다.
이 모든 세상의 아침을 추억하는 일만으로도
절해고도의 또 한생을 묵묵히 견뎌낼 수 있겠다!며
메타세쿼이어 초록불 하늘로 솟구치는 길 따라
지평선까지 내처 가고 싶던 아침이 있었다.
-이면우 '세상의 모든 아침'
◈ 밥상을 앞에 두고, 문득 오늘 하루도 용케 이 밥이 내 입속으로 들어가는구나 하는 생계의 위태로움! 아니면 한 알의 밥알을 위해 태양, 맑은 바람, 이슬, 농부의 수고 등에 대한 깊은 감사함 때문에 정말 제삿날이 아니어도 밥상 앞에서 마구 절하고 싶은 때가 있다.
또 이 흉포하고 간난한 세월, 아무 탈없이 하루하루 대문을 무사히 나설 수 있다는 사실이 새삼 신기하여 누구에게나 마구 절하고 싶은 그런 아침도 있다. 정말 우리는 이런 삶을 살고 있다 친구여.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