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외교안보 대정부 질문

국회는 11일 통일.외교.안보분야 대정부질문을 속개, '신북풍' 논란과 노벨상 로비의혹, 대북 뒷거래설, 서해교전 도발첩보 묵살, 북한의 신의주 특구개발 등을 두고 공방을 벌였다.

한나라당 김용갑 의원은 "남북정상회담 직후부터 북한이 대규모 기동활동을 벌이고 비행훈련을 50% 증가한 데다 잠수함을 새로 만드는 등 군사활동이 급증한 것은 4억달러 뇌물 지원이 아니고는 불가능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강창희 의원도 "서해도발에 사과 한 마디 없었고 모든 회담을 일방 중단했던 북한이 갑작스레 경의선, 동해선 복원에 나서고 신의주 경제특구 건설을 발표한 이유가 도대체 무엇이냐"고 따졌다.

강 의원은 이어 "북한이 99년 8월 우리가 준 돈으로 러시아제 미그기 40대를 구입했고, 지난 8월 김정일-푸틴 회담에서 철도 연결 대가로 공격용 무기를 제공키로 했다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이창복 의원은 "북한이 카자흐스탄으로부터 대당 20만달러라는 헐값에 구입한 미그 21 전투기는 우리가 도입하려는 F-15K 전투기 가격의 500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새로운 위협으로 보기 어렵다는 게 정보당국의 설명"이라고 반박했다.

배기운 의원은 "현대상선이 스스로 진실을 밝히지 않을 경우 정부가 관련법을 적극 재검토, 계좌추적을 통해 진상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유철 의원은 "주요 대북정보를 다루는 일부 부대 지휘관이 군 기밀서류를 흔들며 폭로하는 사태가 벌어졌다"면서 "더 이상 군인이기를 포기한 일부 몰지각한 군 장성들의 한심한 작태를 우리 국민들이 무엇이라 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추미애 의원은 "통일 후를 대비해서라도 우리는 신의주 개발에 대한 주도권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