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소년 사건 수사본부가 '최면수사'라는 특이한 방법에 한가닥이나마 기대를 걸고 있다. 11년이나 세월이 흐름으로써 당시 제보자들의 기억이 거의 희미해져 제보 재점검조차 어려워졌기 때문. 과연 어느 정도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일까◇몇가지 성공 사례=최면수사는 범죄 현장에 뚜렷한 증거가 없이 오로지 목격자나 피해자만 존재할 때 그들의 희미한 기억을 최대한 복원, 사건 해결 단서를 얻으려는 것이다.
미국 LA 경찰국 경우 미제 사건의 60%를 최면기법을 써 해결할 정도로 대부분의 선진국에선 최면을 이용한 심문 기법이 보편화돼 있다고 전문가들이 전했다.
국내에서는 1997년 대한법최면수사학회 박희관 회장이 뺑소니차 목격자에게 최면을 걸어 차 번호를 알아낸 사례가 있다. 이 기법은 그 후인 1999년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의해 공식 채택됐으며, 성폭행사건 피해자나 뺑소니 목격자 등을 대상으로 사용됐고 성과를 올린 사례도 적잖다.
지난해 3월 대구 대명동에서 오토바이를 타고 가던 손모(44)씨를 치어 숨지게 한 운전자 정모(27)씨는 최면수사를 통해 사건 발생 두 달만에 검거됐다. 목격자가 차 번호를 또렷이 되기억해 냈던 것. 지난해 12월 달서구 장기동 기업은행 엽총 강도사건 때도 과학수사연구소 범죄심리과 요원들이 범인에게 돈을 담아 줬던 은행 직원 등 2명에게 최면을 걸어 범인의 윤곽을 알아냈다. 30세 전후, 키 170cm 정도에 통통하고 배가 나왔으며 굵은 목소리에 경상도 말씨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
국립과학수사연수소 함근수 범죄분석실장은 "최면수사는 범인을 검거하는 것보다 당시 상황을 정확히 회상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말했다.
◇개구리소년 사건도 성과 있을까?=대한법최면수사학회 박희관 회장은 "이번 사건에서는 최면수사가 큰 성과를 내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목격 시점으로부터 1년 이상 시간이 경과하면 세월이 지날수록 최면수사 효력도 그만큼 떨어지게 된다는 것. 또 최면수사가 효과를 거두려면 당시 상황이 목격자에게 매우 의미있는 일로 기억됐거나 특별한 이벤트.에피소드가 존재해야 한다는 것.
박 회장은 "오래된 사건이었지만 5.18 광주 민주항쟁 희생자 유가족들이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는 최면수사 기법이 쓰인 적이 있다"며, "특별한 경험이 없는 개구리소년 목격자들 경우 최면수사로 당시 기억을 어느 정도 되살릴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국과수 함근수 실장은 "시간이 많이 흘러 왜곡.망각된 기억도 최면을 받아들이는 사람의 특성, 수사 방향, 최면을 걸 때의 주변 분위기 등 여러 변수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며 기대를 나타냈다.
이상준기자 all4you@imaeil.com
이창환기자 lc15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