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노동청 올 賃協 조사
올해 임금협상이 사실상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으나 대구.경북지역 근로자들의 임금 인상률은 전국 최하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전월세값이 폭등하는 등 물가 오름세가 가파르지만 대구.경북지역에서는 임금을 동결한 사업장이 불경기였던 2년 전보다 오히려 증가했다.
대구지방노동청이 12일 대구.경북지역 상시근로자 100인 이상 사업장 533개 중 임금협상이 끝난 463개(타결률 86.9%)의 총액임금 변동을 조사한 결과, 평균 인상률은 6.4%로 나타났다.
이같은 인상률은 작년에 이어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이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지역(7.5%)이 가장 높아 대구.경북과 1.1%포인트 차이를 보였고 다음은 호남(7.2%) 부산.경남(6.9%) 인천.경기(6.9%) 서울.강원(6.8%) 순이었다.
대구.경북지역의 경우 올해 임금교섭이 끝난 사업장 중 14%(총 65개, 대구 33개, 경북 32개)는 아예 임금을 동결, 경기가 더 나빴던 지난 2000년(52곳)보다 동결 사업장이 오히려 13개나 늘었다.
대구지방노동청은 역내 기업의 경우 중소기업 비중이 절대적인데다 주력인 섬유업의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지 않아 대기업이 많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임금인상률이 낮은 것으로 풀이했다.
중소기업의 임금은 대기업에 비해 갈수록 취약해지고 있는데 최근 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상시근로자 10∼29인 사이 사업장의 임금을 100으로 했을 때 500인 이상 사업장의 임금은 1999년 124.5, 2000년 126.5, 작년 130.6으로 매년 격차가 증가하고 있다.
민주노총 한 관계자는 "이같은 임금 상승률로는 일년새 3.1%나 상승한 물가 및 폭등하는 집세 오름세조차 따라 잡기 힘들다"며 "노동부 통계 대상에서 빠진 임시.일용직 근로자들까지 감안하면 전체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최저생활도 보장받지 못하는 임금을 받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