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위천 대선공약서도 실종

위천공단 조성사업이 이를 추진하던 전임 대구시장의 퇴임과 임기내 결정을 공약했던 대통령의 임기 만료 등으로 장기 미제화될 위기에 처했다. 반면 대통령 선거가 임박했으나 어느 후보도 이 문제에 대한 공약을 꺼려 위천 지역은 공단 예정지로만 묶인채 정책결정 대상에서 잊혀질 가능성이 높아져 주민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위천공단 주요 부지는 1991년에 이미 공업지역으로 묶인 뒤 문희갑 전 대구시장 때 확대 지정되면서 본격적으로 공단 조성이 추진됐으나 부산·경남 지역과의 갈등으로 무산됐으며 당시 김대중 대통령 후보는 문제가 심각해지자 '취임 6개월 내 문제 해결'을 공약했다.

그러나 공단 건설을 주도하던 문 시장은 이미 임기를 마치고 떠났고 김 대통령도 내년 2월 임기 종료를 앞두고 있으나 아무런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했다.

이렇게 위천공단 지정을 이야기하던 대통령과 시장이 잇따라 퇴진하는 가운데 오는 12월 있을 대통령 선거 후보들은 누구도 이 문제에 끼어들기를 꺼려 관련 공약이 전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후보는 방문 지역에 따라 서로다른 의견을 내 놔 불신마저 받고 있다.

또 새로 임기를 시작한 조해녕 대구시장은 공단 건설 추진보다는 남한강 물을 낙동강으로 끌어 와 수량을 늘리고 수질을 개선하는 '낙동강 프로젝트'를 공약, 스스로 위천공단 문제로부터 발을 빼는 것은 물론 정치권에도 문제 회피의 빌미를 준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프로젝트를 별도로 추진하는 것은 모르나 결국엔 "남한강 물을 끌어 와 낙동강 수질을 개선한 뒤에 위천공단 문제 해결을 추진하겠다"는 쪽으로 이해됨으로써 상황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이때문에 위천공단 예정지 주민들은 "낙동강 프로젝트가 실행된다 해도 너무 많은 세월이 또 필요하고 그렇게 된 뒤에도 공단 건설이 이뤄진다는 보장이 없다"며 답답해 하고 있다. 당국이 문제 회피성 태도로 일관하는 가운데 자신들의 토지는 건축도 불가능하게 묶임으로써 재산상 피해가 계속된다는 것. 주민들은 "공단을 만들지 않으려면 하루빨리 예정지에서 해제시켜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위천공단 사업은 210만여평의 땅에 국가공단을 만들어 첨단업체를 유치함으로써 대구의 산업구조를 업그레이드 시키는 동시에 3공단 이전 등으로 대구시가지 모습을 바꾸겠다는 구상 아래 추진됐었다.

강병서기자 kbs@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