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의 이라크 결의안에 대해 이번주내 표결이라는 미국의 입장과는 달리 결의안에 포함될 핵심문구를 둘러싼 막바지 조정과 영국-프랑스간 유럽연합 농업보조금 제도에 관한 외교마찰로 표결이 다음주 이후로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 언론들이 29일 일제히 보도했다.
이라크에 대한 강경한 유엔 결의안을 밀어붙이고 있는 부시 행정부는 29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이라크 무장해제 결의안이 거의 미국측 결의안대로 통과될 것으로 낙관한다고 말했다.
CNN방송에 따르면 행정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28일 밤 "우리는 합의에 점점 더 가까이 가고 있는데 고무됐다"고 말했다. 백악관 보좌관들도 미국이 만든 유엔 결의안에 대한 투표가 빠르면 이번 주말 실시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측은 한스 블릭스 유엔무기사찰단장과 모하메드 엘 바라데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미국측 결의안 중 일부 논란을 빚고 있는 문구에 대해 지지를 표명한 것에 힘을 얻고 있다.
블릭스 단장은 결의안 중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이 무기사찰에 응하지 않을 경우 '중대한 결과(serious consequences)'에 직면할 것이라는 문구를 지지한다고 밝혔으며 엘 바라데이 사무총장도 이라크가 과거 유엔결의를 '중대하게 위반했다'는 문구가 살아있다면 결의안에 아무런 이의가 없다고 말했다.
이 문구들은 일부 안보리 상임이사국들이 미국의 이라크에 대한 자동적 공격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될 우려가 있다며 특히 우려를 표명했다.
미국은 지난 몇주 동안 결의안을 비공식적으로 안보리 이사국들에게 회람을 시킨 뒤 지난주 정식으로 결의안을 발표했다.
한편 뉴욕 타임스는 유엔 주재 미국 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안보리 표결이 다음주로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타임스는 논란이 돼온 문구 가운데 이라크가 무기사찰에 협조하지 않거나 무장해제를 거부할 경우 '심각한 결과'에 직면할 것이라는 구절은 결의안 말미에 삽입키로 합의했으나 이라크가 과거 유엔 결의들에 관해 '중대한 위반'을 자행해왔다는 문구의 해석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견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AP통신은 이처럼 안보리 결의안을 둘러싼 논의가 길어지자 부시 대통령이 대이라크전 여부에 대한 발표를 11월5일 중간선거 이후로 미룰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으며, AFP는 유엔 안보리의 표결이 선거일 다음주에나 실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리=서종철기자 kyo425@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