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남대 이문호(48) 교수(공대 응용전자과)의 학문적 편력은 아무도 못 말린다. 2년전 '현대의 성과학'이란 교양과목을 개설해 한학기 수강신청 1천명이란 경이적인 기록을 세울 때부터 심상찮았다.
재료공학을 전공한 공대 교수가 웬 성과학(Sexology)? 지난해에는 느닷없이 풍수지리에 관한 책을 내서 또 주위를 놀라게 했다. 수맥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공학박사가 말하는 풍수과학 이야기'로 이 책은 영남대 풍수지리 석사과정의 전공교재로도 활용됐다.
이 책은 그래도 '수맥이란 지하에 흐르는 물이 아니라, 지자기(地磁氣)의 분포가 일정치 않아 일어나는 교란'임을 밝혀냈으니 공학박사다운 업적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번에는 또 웬 '역사 속의 여성들'인가.
이 교수가 20일 출간한 '한국 역사를 뒤흔들었던 여성들'(도원미디어 펴냄)도 충격이다. 이 책 속의 여성들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었던 이미지와는 전혀 다른모습을 하고 있어 또한번 놀랍다는 것이다. 그것은 삼국사기의 유교적인 시각과 삼국유사의 친관료적·친왕권적 시각과는 완전히 달라서일 것이다.
이를테면 신사임당은 우리 정서와는 거리가 먼 현모양처이다. 자신보다 학문적으로 열등했던 남편을 다독이고 가르쳤으며 생애 대부분을 친정에 살면서 남편과 별거를 했다.그러면서도 남편에게 존경을 받고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과 예술세계를 활짝 꽃피운 당찬 여성이었다는 것이다.
또 바보온달을 장군으로 키운 평강공주는 부왕과 맞서 싸운 불굴의 여성으로, 어우동은 자유로운 성을 추구한 조선 최대의 여성으로 등장한다. 고려시대의 여성들은남성보다 발언권이 강했으며, 재혼을 자유롭게 선택했다고 한다. 당당했던 옛 여성들의 이야기다.
"조선이 건국되기 전까지만 해도 남녀는 경제적으로 동등한 사회였죠. 남성 중심의 사회는 그 역사가 200~300년에 불과합니다". 이 교수는 남녀가 동등하면 요즘처럼 사회적으로심각한 성문제도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고보니 '성과학'이란 강좌가 왜 그리 인기가 있었는지 알만하다.
이 교수는 또 '당신의 집은 건강합니까'란 책의 출간을 앞두고 마지막 교정작업을 벌이고 있다. 주제가 또 갑자기 건축분야로 옮겨간 것이다. 그러나 그는 건축학적으로만 해석하지 말아달라고 한다.
"가장 쾌적한 환경과 건강한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설계 방안을 유체역학적·전기자기학적으로 해석한 책이지요". 그런데 지금껏 나온 책들도 앞으로 연구·저술해야 할 10여개의 테마중 일부에 불과하다고 한다. 다방면을 거리낌없이 섭렵하고 있는 그의 현학적 주유 행각이 어디까지 미칠지 사뭇 궁금하기만하다.
조향래기자 swordj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