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은 고속철이 개통되면 대구의 경우 영천·경산·구미 뿐 아니라 창녕·거창 등 북부 경남까지 아우르는 광역생활권을 형성하고, 경주는 포항·울산을 잇는 삼각형 모양의 광역생활권을 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고속철 정차 도시를 중심으로 광역생활권 형성이 촉진되는 대변화가 일어나리라는 예상이다.
◇경주의 부푼 기대=김재석 경일대 교수(경주도시발전연구소장)는 "포항·울산·포항 등 동남권 300만 주민들이 경주 고속철역을 이용할 수 있어 고속철 이용이 본궤도에 오르는 2015년엔 하루 이용객이 5만4천여명에 이르고 큰 관광수입 증대 효과가 나타나 경주 지역이 새롭게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경주에서는 특히 정차역이 들어설 건천 화천리 역세권을 중심으로 대구·부산·울산·포항을 잇는 유통·상업 시설이 등장하고 접근성 향상으로 관광객도 증가할 것이라며 기대가 대단하다.
부산시도 지난해 부산을 찾았던 170여만명의 외국인 관광객 중 상당수가 경주를 찾을 것으로 전망했다.
고속철이 개통되면 경주~부산이 20분 거리로 좁혀지기 때문이다.
◇김천의 위기감=그러나 고속철이 서지 않고 그냥 통과토록 돼 있는 김천은 지역 발전 계기를 잃는 것은 물론 도시가 또한번 위축될 것이라며 불안해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차역 지정 운동에 시 전체가 사활을 걸다시피 할 정도.
김천에서 정차역 유치 운동이 시작된 것은 1991년이었다.
고속철이 김천 도심을 관통하면 시가지가 양분돼 도시의 기형적 발전이 불가피한 만큼, 그 보상 차원에서라도 고속철이 김천에 반드시 정차해야 한다는 논리가 그때 개발됐다.
작년 5월에는 김천의 50여개 단체 대표와 대학교수 등 100명으로 '경부고속철도 김천역사 유치추진위원회'가 구성됐으며, 11월에는 유치기획단과 특별위원회가 각각 김천시청과 시의회에 설치됐다.
추진위 등의 주장은 고속철 전체 공사가 완료되는 2010년까지 기존 경부선 철로와 고속철 노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통합 역사를 건설해 달라는 것. 이 요구의 관철을 위해 서명운동이 전개되고 있으며, 구미상공회의소도 가세하고 나섰다.
첨단 산업단지로 도약하는 구미공단 업체 지원을 위해서도 가까운 김천에 고속열차를 정차시켜야 한다며 건교부 등에 요구하고 있는 것.
철도 교통의 중심지로 성장한 김천은 1949년 8월 대구·포항과 함께 시로 승격됐으나 큰 공단을 유치하지 못한 가운데 경부고속도가 생기고 자가용 승용차가 증가한 후 1970년대부터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60년대에 23만명에 이르렀던 시 인구는 현재 15만명으로까지 감소했다.
◇전문가들의 의견=2001년 발표된 한 논문은 고속철 대구~경주 구간이 48.6㎞인데 반해 대전~김천은 60.4㎞, 김천~대구는 62㎞나 된다며 김천 정차에 아무 문제가 없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울산대 토목환경공학부 김성득 교수 등도 '경부고속철도 경주~울산 구간과 일본 신간선 비교'라는 논문에서 도카이도 신간선의 도쿄~신오사카 사이 515㎞ 구간에는 역이 14개나 되고 가장 짧은 구간은 15.9㎞(아타미~미시마)에 불과하고 가장 긴 구간도 68.1㎞(마이바라~교토) 밖에 안된다고 환기했다.
반면 경부고속철은 서울~부산 전 구간이 430.7㎞나 되는데도 역이 4개밖에 없고, 가장 긴 구간은 126.9㎞(대전~대구)나 되고 가장 짧은 구간도 63㎞(천안~대전)에 이른다는 것. 그래서 이 논문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서도 중간역 추가 설치가 필요하다고 결론 내렸다.
◇당국의 태도=현재 고속철 추가 정차를 요구하고 있는 지역은 김천·울산·오송(충북) 등 3곳이다.
이에대한 건교부의 지금까지 입장은 정차역을 추가로 건설할 경우 2단계 건설기간과 사업비 부담이 늘어나 곤란하다는 것. 이런 가운데 8일 일부 신문이 '김천·구미 정차 검토'라는 기사를 싣자 건교부는 '검토된 바 없는 이야기'라고 즉각 부정하고 나섰다.
관련 연구를 하고 있는 철도기술연구원 등이 낸 의견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더욱이 구미역 부분에 대해서는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했다.
고속철이 구미 시가지가 아니라 금오산 지역을 통과해 칠곡 북삼면으로 빠져 나가기 때문에 구미에는 역을 건설하려 해도 불가능하다고 했다.
건교부 관계자는 정차역 추가 건설 문제는 민감한 사안인 만큼 새 정부가 들어선 뒤 본격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정해 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오는 6월 말까지 대구 도심 통과 방식과 함께 결정해 2단계 건설 기본계획에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이경달기자 saran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