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음력 5월 5일로 단오였다.
단오는 천중절, 포절(蒲節:창포의 날), 단양, 중오절, 수릿날이라 불리기도 한다.
단오의 '단'은 첫 번째를 뜻하고, '오'는 다섯의 뜻으로 단오는 '초닷새'를 뜻한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이 날 만들어 먹는 쑥떡의 모양이 수레바퀴처럼 생겼기 때문에 '수리'란 명칭이 붙었다고 하며, 또 수리란 고(高).상(上).신(神) 등을 의미하는 우리의 옛말로 '신의 날', '최고의 날'이란 뜻을 갖고 있다.
이 날 부녀자들은 '단오장(端午粧)'이라 하여 창포뿌리를 잘라 비녀로 만들어 머리에 꽂아 두통과 재액을 막고, 창포를 삶은 물에 머리를 감아 윤기를 냈다.
또 단오날 새벽 상추잎에 맺힌 이슬을 받아 분을 개어 얼굴에 바르면 버짐이 피지 않고 피부가 고와진다고 생각했고, 남자들은 단오날 창포뿌리를 다듬어 허리에 차고 다니면, '귀신을 물리친다'는 믿음을 가졌었다.
단오날 중 오시(낮 12시 전후)가 가장 양기가 왕성하다고 여겨 약쑥, 익모초, 찔레꽃 등을 따서 말려두었다가 약용으로 사용하였으며, 대추나무 가지 사이에 돌을 끼워 놓아 더 많은 열매가 열리기를 기원하는 '대추나무 시집보내기'와 쑥.대쪽.헝겊 따위로 만든 호랑이 형상을 머리에 이면 재액을 물리친다고 여긴 애호(艾虎)풍습도 있었다.
또 단오 첩(帖)을 지어 기둥에 붙였고, 여름더위에 건강하라는 뜻이 담긴 부채를 나누어 주었다.
한편 수리취떡, 앵두화채, 제호탕 등 단오 무렵 즐겨먹던 우리의 전통 음식을 장만해 창포가 무성한 물가에서 물맞이 놀이를 하며 액땜을 했고, 잡귀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탈놀이를 했으며, 그네뛰기와 씨름을 즐겼다.
이러한 단오놀이가 각 고을마다 풍성했으나 근대화와 산업화에 밀려 거의 사라지고 있다.
요즈음 젊은이들이 서양의 것으로 보이는 의미를 알 수 없는 무슨 데이라 이름하는 날에 초콜릿, 장미 등을 선물하는 풍습을 보며, 단오날 우리 선조들이 건강을 기원하며 부채를 선물하던 아름다운 풍습을 되살려 주변 친지들에게 부채를 선물하며 단오민속의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 간절하다.
(대구한의대 국어문화학)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