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범죄가 5년사이 500배나 증가했다는 경찰청의 집계는 그 자체로도 범죄사상 유례가 없는 것으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이는 앞으로도 범죄의 신장세가 급속하고 광범위하게 퍼질 것을 예고하는 것이라 이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범죄의 유형도 해킹이나 바이러스 유포 등 테러형 범죄가 97년의 단 5건에서 지난해 1만4천500건으로 전체 사이버 범죄중 4건중 1건꼴로 급증했다는 건 1회성의 범죄로 끝나는게 아니라 그 후유증이 불특정 다수에게 야기시킨다는 걸 의미한다.
해킹이나 바이러스 유포 등의 범죄는 끝없이 새로운 기법이 개발되면서 사실상 단속의 손길이 이를 따라 잡을 수 없을만큼 빠르게 진화(進化)하는 '특수성'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게다가 전자상거래 사기, 위법사이트 개설, 개인정보침해 등 유형의 범죄는 앞으로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자칫 대형 경제범죄를 야기할 잠재성까지 지니고 있어 현행 검·경의 단속체계로는 대응이 어렵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
또 명예훼손이나 성범죄유발 유해 사이트는 속수무책일 정도로 범람하고 있다.
특히 명예훼손부문은 익명성을 한껏 악용한 케이스로 한 개인의 파멸로 이어지고 있는데다 주로 10대들의 성범죄 유발요인인 포르노사이트는 미국 등 외국 사이트까지 무차별 국내 인터넷을 점령하다시피하고 있어 단속자체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우선 약 600여명에 불과한 경찰의 사이버 범죄단속 인력으로는 사실상 무방비 상태로 단속시융에 그친다는 사실을 직시, 전문인력의 대폭적인 보강이 절실하다.
또 단속체계도 현행 검·경체제와 정보통신부 의존에서 과감하게 탈피, 전 부처가 사이버 범죄에 대처하는 범정부적인 다원체제로 혁신하지 않으면 효율적인 예방기능이 어렵다.
법체제도 유럽공동체처럼 국제공조체제로 확대하는 새 틀을 만들어야 한다.
이런 단속 체계로도 한계가 있는만큼 '클린인터넷'같은 민간중심의 정화운동도 함께 활성화 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