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총기범죄 안전지대 아니다

'대구.경북은 총기 안전지대인가'.

22일 대구 삼덕동2가 섬유업체 사장집 강도 사건에 사용된 38구경 권총이 국산보다 외제 또는 사제 총기일 가능성이 높은데다 경찰의 총기관리도 허술한 것으로 밝혀져 대구.경북지역도 더 이상 총기 안전지대일 수 없다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지역의 총포업자들은 수 년 전부터 부산.인천을 중심으로 러시아 상선 등을 통한 외제 총기류가 국내에 반입.유통되고 있으며 '대구.경북에도 밀거래된 사실을 전해 들었다'고 말하고 있다.

24일 국립과학수사연구소와 경찰을 통해 확인한 결과 삼덕동 권총강도 현장에서 발견된 탄두는 38구경이며 탄두에 나타난 강선 흔적(발사 흔적)으로 볼 때 공식 유통된 국산 권총이라기 보다 밀반입된 외제 권총 또는 사제 총기류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관련해 대구의 한 총포업자는 "4~5년 전부터 외국 선원들이 부산 7부두 등을 통해 러시아제 총기류를 밀반입해 국내에 유통시키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총기 1세트(권총 1정, 탄환 12발)당 20만~50만원에 국내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지난 4월 중순 부산에서 발생한 러시아 마피아 피격사건에서도 러시아제 권총이 사용된 것을 비롯해 항만.공항을 통해 일부 외제 총기류가 암암리에 반입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01년 말 부산시내 한 여관에서 권총을 발사한 러시아 선원도 권총을 지닌 채 항만 검색대를 무사 통과했었다.

총기.화약 전문가들은 또한 인터넷을 이용해 제조법을 습득, 최신 장비나 기술력을 이용해 가스총.공기총 등을 개조하면 신체를 관통해 인명살상까지 할 수 있는 강력한 총기류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경찰의 총기 관리도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0년 대구동부경찰서의 한 경찰이 38구경 권총을 탈취당했고 2001년에는 경찰 보관용 엽총 1정이 분실됐으며, 공기총의 경우 지난 2000년부터 지금까지 300여정이 분실 또는 도난돼 이중 80~90%만 회수된 것으로 집계됐다.

대구에서는 38구경 권총이 113개의 파출소 1천452정, 주요 시설 청원경찰 16정, 사격선수 5정 등이 지급돼 있으며, 이밖에 경찰이 보관중인 민간인 엽총 1천756정, 사격선수용 22구경 권총 및 소총 각각 43정, 24정 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편 경찰은 24일 파출소 경찰과 청원경찰에 지급된 권총의 분실.도난 여부를 점검해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파악했으며, 나머지 총기류에 대한 점검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김모(42.여.대구 동인동)씨는 "대구에 권총 강도까지 발생하니 너무 불안하다"며 "어떻게 일반인이 총기를 사용할 수 있느냐"고 불안해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전창훈기자 apolonj@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