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종의 특혜다.
방송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방송법 개정안은 여러측면에서 논란의 소지가 있고 무리라는 판단을 한다.
우선 지상파TV사(社)만 유리하도록 법을 고치겠다는 인상이 짙다.
방송광고시간을 방송시간의 20%이내로 늘리는 근거를 마련한 것은 독과점 상태를 더욱 강화한 특혜라는 지적을 받게돼 있다.
오죽했으면 한국방송학회가 "지상파 방송사의 중간광고를 허용하고 광고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근거조항을 만든 것은 특혜이며 방송학계와 시민사회가 수년간 지상파 방송사의 독과점 완화를 강하게 요구해온 현실을 볼때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고 했겠는가. 우리는 이런 조치들이 권력과 방송사간의 '유착', '당근적 급부'가 아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경제정의실천운동연합 등 7개 시민단체도 이번 방송위원회의 방송법 개정안을 지상파방송의 기득권만 옹호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비판했다.
KBS.MBC.SBS의 시장점유율을 보면 우리사회에서 제기하고 있는 '방송 독과점'이 설득력이 있다는 생각을 다시 일깨워준다.
87%대라고 한다.
2002년 KBS 매출액이 약 1조3천억원이고 MBC도 7천억원으로 집계되고 있다.
KBS는 주식회사가 아니기 때문에 상호출자제한을 받지않아 문어발 확장도 이론상으로는 가능한 '자유스러움'이 경이의 대상이다.
기존의 시청료 징수에 광고시간 연장, 중간광고.가상광고도 할 수 있다면 독과점 경향은 더욱 심화될 것은 뻔하다.
방송법 개정안은 재고해야 한다.
정보통신부 등 관련부처도 전면재고를 요구하고 나서는 원인을 유념할 일이다.
방송법개정안은 공영방송의 공공성을 생각하게 한다.
우리의 공영방송이 과연 공공성 확보가 충분한 것인지, 국민에게 더욱 다가설 수 있을 것인지 주목을 받는다.
권위시대의 공익성 훼손도 기억하고 있는 국민들이 많다.
인쇄매체도 이 부분에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지만 영국의 BBC와 같은 품위를 바란다.
감성(感性)매체 경향을 벗어나려는 노력도 있어야 방송메시지를 시청자들이 수용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