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대학별 안배도 고려
▨선정안팎
최근 자연·이공계에 대한 기피현상과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기초과학과 기술발전을 위해 연구실을 지켜온 학자들은 그 어느 분야보다 다양하고 그 수도 많다.
이런 이유 때문에 자기분야에서 축적된 연구와 뛰어난 기술로 국가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젊은 학자들이 21세기 한국의 성장동력이라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자연·이공계열의 다양함과 개성,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전공영역 등 그 어느 분야보다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이기에 각자의 학문의 깊이와 사회공헌도를 따져 10명을 선정한다는 것이 어려운 일이었다.
깊이 있는 연구결과로 국내외 권위있는 상을 수상하거나 전공과 산업과의 연계성 등에 비중을 두고 30, 40대 소장학자들을 추천받아 선정위원들이 연구업적과 발전 가능성 등을 따져 10명을 선정했다.
전공별, 지역별, 대학별 안배 원칙을 지키려고 애썼다.
선정된 학자들 이외에도 전공분야에서 남다른 성과를 내고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있는 인재들이 너무나 많다는 점을 다시 한번 밝혀둔다.
서종철기자 kyo425@imaeil.com
◆추천·선정위원(가나다순)
△김인수(경북대 교수) △윤덕홍(교육인적자원부 장관) △이대주(계명대 공과대학장) △이무근(경일대 총장) △이상천(영남대 총장) △정종재(경북대 명예교수) △조영수(계명대 자연과학대학장) △최달곤(영진전문대 학장)
◈핵융합 분야 국내최고권위자
◆권오진〈대구대 자연대 물질과학부 교수〉
물리학자. 국내 핵융합(플라스마, 고온핵융합, 토카막) 분야의 최고 전문가 중 한사람으로 손꼽힌다.
'월성 핵발전소 분석' '융합 플라스마 이론' '토카막 플라스마의 여러가지 평형상태가 수직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등 수많은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국제플라스마물리학회, 유럽물리학회 등 국제학술회의에서 주목할만한 연구결과를 발표했으며 미국물리학회(APS), 영국물리학회(IP), 유럽물리학회(EPS) 회원으로 활동중이다.
2001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 기초과학지원연구소(KBSI) 운영위원을 역임했고 미국 캘리포니아대(샌디에이고) 물리학과 전임연구원을 지냈다.
△서울대 물리학과 △한국과학기술원 석사, 미 텍사스대(오스틴) 박사 △45 △대구
◈캐릭터 개발 등 실무역량 인정
◆김경수〈영진전문대 컴퓨터계열 교수〉
애니메이션과 컴퓨터그래픽 전문가. 컴퓨터그래픽, 모션그래픽, 모션캡쳐, 캐릭터디자인, 프로젝트(포트폴리오), MOTION BUILDER 교육전문가. 문화관광부(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주관 문화콘텐츠지원사업 과제수행총괄, 애니문(Animoon) 웹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위한 모션캡쳐 데이터 개발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력이 있다.
삼부프로덕션과 그리네 애니메이션기획사, (주)크리비젼 등에서 애니메이션, 컴퓨터그래픽, 캐릭터 개발 등 업계 실무경력이 풍부한 것이 장점. 캐나다 KATC(Kaydara Authorized Training Center) 국제공인자격증과 모션빌더 교육자격증을 갖고 있다.
△명지대 산업기술대학원 미술학 석사 △캐릭터디자이너협회 대구지회장 △38 △서울
◈'올해의 과학자상' 등 다수 수상
◆김범식〈포항공대 수학과 교수〉
미 캘리포니아대(버클리)에서 대수기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수학자. 올해 과학기술부·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공동으로 21세기 한국 과학기술계를 이끌 40세 미만의 젊은 과학자를 발굴, 선정하는 제5회 '올해의 젊은 과학자상'을 수상했다.
지난 2000년에는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10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최근 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추상화된 대수곡선 마듈라이 공간 위에서 교차이론을 전개하면 특정한 위상적 위치에 있는 대수곡선의 실질적인 수가 되는 '그로모프-위튼 불변량'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On Equivariant Quantum Cohomology'(1996·미국 듀크대 출판부) 등 많은 연구논문을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미 캘리포니아대 박사 △35 △서울
◈간암치료제 개발 새 지평 열어
◆김정애〈영남대 약대 교수〉
생리학 전공학자. 세포생물학계 최고의 권위로 알려진 미국세포생물학회(ASCB)가 2001년 전세계에서 제출된 8천여편의 논문 중 뽑은 우수논문 15편에 김 교수의 연구논문 'Doctors and Peppers'가 포함됐다.
고추에 함유된 매운 맛 성분인 캡사이신(Capsaicin)이 인간 간암세포에 대해 성장억제작용이 있고, 이러한 효과가 염증작용을 매개하는 효소로 알려진 COX-2의 작용을 촉진해 산소유리기의 생산을 증가시켜 일어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다.
관절염이나 비만치료에 캡사이신 성분이 효과가 있다는 기존 연구에서 진일보, 간암치료에도 효과가 있음을 최초로 밝혀 간암치료제의 개발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
△부산대 약학과 △미 로욜라대 이학박사(신경과학전공) △40 △상주
◈컴퓨터 암호화에 탁월한 업적
◆김현성〈경일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세계적 권위의 인명 사전인 미국 마르퀴스사 과학·공학인명사전(Who's Who in Science & Engineering) 2003-2004년 개정판에 등재된 컴퓨터보안전문가. 컴퓨터 보안분야 중 암호화 프로세서 설계, 암호 프로토콜 설계 및 침입탐지시스템 등에서 탁월한 연구업적을 보이고 있다.
연구논문 중 SCI급 논문만도 10편에 달하며 암호학, 암호칩 설계, PKI, IDS 등 정보보호와 병렬처리 분야에 연구결과를 축적하고 있다.
3년 가까이 (주)디토정보기술 선임연구원으로 활동하는 등 업계 현장경험도 풍부하다.
△경일대 컴퓨터공학과 △경북대 대학원 컴퓨터공학과 석·박사 △32 △대구
◈논문 수백건에 특허도 수십건
◆류원석〈영남대 섬유패션학부 교수〉
10여년간 독자적인 폴리비닐알코올(PVA) 관련 연구를 통해 250여편의 연구논문 및 수십 건의 특허발표, SCI 논문 게재 70여 건 등 괄목할 만한 연구업적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2001년 제1회 한국섬유공학회 우수연구상과 제12회 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지난해에도 제2회 한국섬유공학회 '우수연구상' 을 연속 수상하는 등 자타가 공인하는 실력자. PVA 연구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확고한 입지를 굳히고 있는 그는 (주)코오롱, (주)제일모직 등 대기업과 (주)에이스디지텍, (주)파인텍스 등과 PVA 원료 제조에서부터 섬유 및 필름으로의 제품화 등 다각도의 기술개발연구를 진행중이다.
△서울대 섬유공학과 △서울대 섬유공학 석·박사(섬유고분자공학전공) △38 △서울
◆이인선〈계명대 식품가공학과 교수〉
대구경북지역 BT분야의 선두주자 중 한 사람. 계명대 전통미생물자원연구(TMR)센터 초대 센터장을 맡아 2001년 과학기술부로부터 전통미생물자원연구를 위한 지역협력연구센터(RRC)로 지정받는데 산파역을 톡톡히 한 여장부로 통한다.
또 지난해 계명대 TMR센터가 대구경북지역에서 유일하게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국가공인식품위생검사기관으로 지정받아 산학교류활성화에도 큰 역할을 맡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경험을 두루 쌓은 것이 큰 장점. 1999년 푸드팩터국제학회 젊은 과학자상을 수상했다.
한국과학기술원에서 '탄화수소가스로부터 열분해 탄소의 증착 기구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X-선 조사에 의한 무전해 도금방법' '고온초전도체의 박막제조 방법' 등 10건의 국내외 특허를 갖고 있다.
△영남대 식품영양학과 △영남대 식품영양학 석·박사 △44 △대구
◈X선 이용 나노구조 연구 권위
◆제정호〈포항공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한국과학재단 선정 2002 '이달의 과학자 상'과 물질의 내부 미세구조를 분석하는 마이크로 X-선 촬영기술 연구개발로 2002 한-스위스 우수연구자상을 수상했다.
현재 국가지정연구실인 포항공대 방사광 X-선 나노구조연구실장을 맡아 X-선을 이용해 정보전자 및 반도체 재료의 나노구조를 규명하고 응용하는 연구를 진행중이다.
전공은 나노구조(전자재료).
△연세대 금속공학과 △한국과학기술원 재료공학 석·박사 △46 △서울<
◈저공해 차량엔진 개발 견인차
◆최경호〈계명대 자동차공학부 교수〉
국내 저공해 차량부품과 엔진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기계공학자. 전국적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계명대 저공해자동차부품기술개발센터 소장을 맡고 있으며, 이 센터가 출자한 벤처기업 '이룸'이 올해 서울시 경유사용 청소차 LPG교체사업에 우선 참여하고 있다.
또 대구시와 부산시가 추진중인 노후 청소차 및 마을버스의 LPG차량으로의 전환사업에도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소기관용 연소유도장치', '5톤 디젤기관 탑재차량에서의 LPG연료 연소를 위한 전기공급장치', 'LPG차량용 배정기 연결장치' 등 여러 건의 특허를 갖고 있다.
△성균관대 기계공학과 △미 앨라배마대 석·박사 △43 △서울
◈바이오산업 육성 남다른 애정
◆허태린〈경북대 유전공학과 교수〉
유전공학,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가 매우 활발한 학자. 관련학계 국제 학술저널에 연구논문 발표가 많고 인용도도 최상위권이다.
유전공학 연구를 생명공학 산업화에 연결시켜 벤처기업 TG바이오테크를 경영하고 있고, 회사의 기술축적이 매우 높아 바이오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는 등 지역의 바이오산업 육성에도 남다른 애정을 갖고 있다.
경북대 총장 우수연구업적 표창장 수상. 한국 분자생물학회·한국 산업미생물학회·한국 유전학회 정회원이며 '재조합 미생물을 이용한 폴리-베타-하이드록시부티릭산의 제조방법' 국내 특허를 갖고 있다.
△고려대 식품공학과 △고려대 대학원 농화학과 석·박사 △47 △서울
댓글 많은 뉴스
'TK 지지율' 김문수·이준석 연일 상승세…이재명은?
이재명, '방탄 유리막' 안에서 유세…대선 후보 최초
1차 토론 후 이재명 46.0% 김문수 41.6% '오차범위 내'
[르포] '추진력' 이재명이냐 '청렴' 김문수냐…경기도 격전지 민심은?
'이재명 대세론' 역전 카드…국힘 "사전 투표 전 이준석과 단일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