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3당 총무회담 국회정상화 합의 실패

한나라당 홍사덕(洪思德), 민주당 정균환(鄭均桓) 원내총무와 열린우리당 김근태

(金槿泰) 원내대표는 27일 오전 총무회담을 갖고 파행 3일째를 맞고 있는 국회 정상

화 방안을 논의했으나 각 당의 입장이 엇갈려 논란만 벌인 채 합의에 실패했다.

이에 따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측근비리 의혹사건 특검법안 거부권 행사

및 이에 대한 한나라당의 반발로 빚어진 국회의 안건심의 중단이라는 파행사태는 당

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3당은 핵폐기물 처리시설 유치 문제를 놓고 정부와 주민간 극한 대립양상

을 보이고 있는 부안사태 대책 마련을 위해 국회 부안사태 진상조사단을 구성키로

의견을 모았다.

노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및 재의 요청과 관련, 한나라당 홍 총무는 특검법안이

국회 재적의원의 3분의 2를 넘는 184명의 찬성으로 통과된 점을 지적하며 노 대통령

의 선(先) 재의 요구 철회, 후(後) 국회 정상화를 주장했다.

특히 홍 총무는 "대통령이 자신만만하게 거부권을 행사한 것은 10명 이상을 회

유에 성공했다는 뜻"이라면서 "재의에 회부해 '회유공작'을 성공하게 만들면 이것은

노 대통령이 독재자의 길을 가도록 돕는 것"이라며 재의에 반대했다.

또 그는 열린우리당 일각의 현직 장관 총선 차출 주장에 대해 "정부내 출마예정

장관들이 사전선거운동을 벌이고 있다"면서 "당장 그런 장관들을 물러나게 해서 차

라리 열린우리당에 입당시키라"고 공격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정 총무는 "대통령이 거부한 특검법은 국회에서 합법적으로

처리하면 된다"며 재의를 주장하고 "특히 예산안 심의와 국회 이라크조사단 보고 및

논란이 일고 있는 대학수학능력평가 문제에 대한 국회 차원의 대책을 위해 관련 상

임위를 열자"고 말했다.

열린우리당 김 대표는 "국회를 정상화하지 않으면 정치개혁도 물건너가고 정치

에 대한 국민들이 냉소가 심화되므로 먼저 정치개혁특위라도 열어서 논의하자"면서

"이라크문제와 수능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국방위와 교육위도 열자"고 주장했다.

또 김 대표는 한나라당 홍 총무의 노 대통령 국회의원 회유공작 주장에 대해 "

정치공작은 있을 수 없다. 있으면 알려질 것 아니냐"고 반박하고, 현직 장.차관 차

출설에 대해서도 "우리의 책임범위를 넘어선 일"이라고 부인했다.

이와함께 3당은 부안사태 진상조사단을 한나라당 4명, 민주당 3명, 열린우리당

2명, 자민련 1명으로 구성하고 단장은 한나라당 강인섭(姜仁燮) 의원이 맡든다는데

만 의견을 모았을 뿐 일정 등 구체적인 활동계획에 대해선 합의하지 못했다.

한편, 자민련 김학원(金學元) 총무는 지역구 일정때문에 총무회담에 불참했으나

특검법 재의 추진 및 부안조사단 구성 찬성 입장을 전달했다. (서울=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