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홍사덕(洪思德), 민주당 정균환(鄭均桓) 원내총무와 열린우리당 김근태
(金槿泰) 원내대표는 27일 오전 총무회담을 갖고 파행 3일째를 맞고 있는 국회 정상
화 방안을 논의했으나 각 당의 입장이 엇갈려 논란만 벌인 채 합의에 실패했다.
이에 따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측근비리 의혹사건 특검법안 거부권 행사
및 이에 대한 한나라당의 반발로 빚어진 국회의 안건심의 중단이라는 파행사태는 당
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3당은 핵폐기물 처리시설 유치 문제를 놓고 정부와 주민간 극한 대립양상
을 보이고 있는 부안사태 대책 마련을 위해 국회 부안사태 진상조사단을 구성키로
의견을 모았다.
노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및 재의 요청과 관련, 한나라당 홍 총무는 특검법안이
국회 재적의원의 3분의 2를 넘는 184명의 찬성으로 통과된 점을 지적하며 노 대통령
의 선(先) 재의 요구 철회, 후(後) 국회 정상화를 주장했다.
특히 홍 총무는 "대통령이 자신만만하게 거부권을 행사한 것은 10명 이상을 회
유에 성공했다는 뜻"이라면서 "재의에 회부해 '회유공작'을 성공하게 만들면 이것은
노 대통령이 독재자의 길을 가도록 돕는 것"이라며 재의에 반대했다.
또 그는 열린우리당 일각의 현직 장관 총선 차출 주장에 대해 "정부내 출마예정
장관들이 사전선거운동을 벌이고 있다"면서 "당장 그런 장관들을 물러나게 해서 차
라리 열린우리당에 입당시키라"고 공격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정 총무는 "대통령이 거부한 특검법은 국회에서 합법적으로
처리하면 된다"며 재의를 주장하고 "특히 예산안 심의와 국회 이라크조사단 보고 및
논란이 일고 있는 대학수학능력평가 문제에 대한 국회 차원의 대책을 위해 관련 상
임위를 열자"고 말했다.
열린우리당 김 대표는 "국회를 정상화하지 않으면 정치개혁도 물건너가고 정치
에 대한 국민들이 냉소가 심화되므로 먼저 정치개혁특위라도 열어서 논의하자"면서
"이라크문제와 수능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국방위와 교육위도 열자"고 주장했다.
또 김 대표는 한나라당 홍 총무의 노 대통령 국회의원 회유공작 주장에 대해 "
정치공작은 있을 수 없다. 있으면 알려질 것 아니냐"고 반박하고, 현직 장.차관 차
출설에 대해서도 "우리의 책임범위를 넘어선 일"이라고 부인했다.
이와함께 3당은 부안사태 진상조사단을 한나라당 4명, 민주당 3명, 열린우리당
2명, 자민련 1명으로 구성하고 단장은 한나라당 강인섭(姜仁燮) 의원이 맡든다는데
만 의견을 모았을 뿐 일정 등 구체적인 활동계획에 대해선 합의하지 못했다.
한편, 자민련 김학원(金學元) 총무는 지역구 일정때문에 총무회담에 불참했으나
특검법 재의 추진 및 부안조사단 구성 찬성 입장을 전달했다. (서울=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