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속철 지상화 재논란 신중한 대처를

장관이 바뀌었다고 다시 지상화인가. 경부고속철 대구도심 통과방식이 또다시 지상화냐 지하화냐 논쟁이 불붙을 모양이다.

대구시의 최종 방안이 지하화로 결정이 난 것으로 알고 있는 시민들로서는 어리둥절할 뿐 아니라 이러다간 고속철이 하늘로 올라가야 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대구시가 지난해 7월 이미 고속철 대구도심 통과 방식을 '직선 지하화'로 공식화 한데도 불구, 최근 다시 지상화 여론이 제기된 것은 건설교통부가 지상화를 거론하면서다.

건설교통부는 대전의 지상화 결정을 계기로 대구도 지상화해, 공기도 단축시키고 절약되는 예산으로 역세권 주변을 개발하는 것이 더 좋지 않겠느냐는 뜻을 비쳤다.

건설교통부는 아직 대구시에 공식 통보하지 않았으나 곧 대안 검토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한다.

물론 고속철 도심통과 방식에는 그 나름의 장.단점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대구시가 지하화하기로 결정하기까지의 과정을 망각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대구시민들이 지금까지 지하화를 고집한 이유는 도심을 남.북으로 가로막는 장애요소를 없애, 도시의 균형발전을 도모하자는 뜻이 더 컸다.

시민들은 이 같은 오랜 숙원 해결을 기대하며, '철도.고속철 병행 지하화'안을 결정했고 수용했었다.

이런 상황이 그 새 몇달만에 바뀐 것인가. 당초의 지하화의 뜻은 다 접어두고 다시 지상화 논의를 한다는 것은 너무 앞뒤가 맞지않아 민망스럽다.

우리는 대구선 이설도 남.북소통이란 대원칙 아래서 많은 예산을 들여 옮기고 있다.

따라서 고속철 지상화냐 지하화냐의 문제는 철도변 주변 지역민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대구시민 전체의 문제이며, 그 결정은 100년 200년 장기적인 안목에서 해야한다고 본다.

문제는 대구시의 어정쩡한 태도가 아닐까 싶다.

대구시는 실리를 거론하며 여론의 눈치만 살피고 있을 것이 아니라 상황이 달라졌다면 달라진 이유를 밝히고, 공론화에 앞장서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10년간 되풀이해온 혼란만 부채질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