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잉구베이타,
그 한마디 십년 전부터
내 귓전을 맴돌고 있다.
잉구베이타, 그는 누구일까,
어디에 살고있을까,
나이는?
잉구베이타 잉구베이타,
그가 꾸는 꿈을
한 번 나는 보고 싶구나, 글쎄
한 번 보고 싶구나,
꿈꾸는 잉구베이타,
그 한마디 십년이나 왜
내 귓전을 맴돌고 있을까,
김춘수 '잉구베이타'
인간은 뭘까, 시는 뭘까, 질문하고 대답하는 과정에서 시는 탄생하는지도 모른다.
또 어떤 말은 예감의 광휘에 휩싸여 시인의 영혼을 며칠 동안, 아니, 10년을 따라다니다가 어느 날 사뿐 나비처럼 지상에 내려앉는지도 모른다.
'잉구베이타'는 '인큐베이터'인데, 시인은 그 표준말도, 말뜻도 모른 채 오래 옹알이해 왔다고 한다.
하니 이 시는 의미보단 무의미, 소리의 울림, 리듬을 따라가 본 무의미시쪽이라 할까. 시인은 모든 것을 다 알 필요가 없고 오히려 시인이 창조해 낸 말들이 다 시가 되어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일찍이 이데올로기의 허위성을 깨치시고 무의미시를 탐구하다가 마침내 '꿈꾸는 잉구베이타'의 아가인 평화로운 미숙아로 돌아가신 대여 김춘수 시인이시다.
박정남(시인)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