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수뇌부의 일괄 사표 가운데 민정·인사수석비서관만 선별 처리키로 하자 이에 대한 해석이 구구하다.
논란의 핵심에 서 있는 김우식(金雨植) 비서실장이 청와대 안팎의 당초 예상과 달리 경질 대상에서 빠졌기 때문.
노 대통령은 "모든 중요한 결정은 내가 다했다"면서 비서진을 여론의 직격탄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또 "정무직은 정무적 책임이 있다"며 고시 공부를 함께 한 박정규(朴正圭) 민정과 참여정부 초기부터 호흡을 맞춰온 정찬용(鄭燦龍) 인사수석에게 '실무적 책임'을 물었다.
민정·인사수석의 사표를 수리하고 후임을 인선하는 시기는 13일 연두기자회견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변이 없는 한 김 실장이 다시 경질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은 적다.
일각에서는 김 실장이 빠진데 대해 이해찬((李海瓚) 총리를 보호하기 위한 '도마뱀 꼬리 짜르기'로 보고 있다.
김 실장이 포함되면 이 총리는 왜 빠졌느냐는 공세가 거셀 것이란 얘기다.
자칫 대통령도 야당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를 했을 수도 있다.
이와 달리 김 실장 재신임에 대해 실용주의 국정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노 대통령의 메시지로 해석하며 긍정 평가하는 이들도 없지 않다.
김 실장은 지난 연말만 해도 조선, 중앙, 동아일보 대표와 접촉하는 등 보수세력의 뜻을 들어 대통령에게 전달하는 주 창구였다.
어쨌든 노 대통령은 김 실장에게 힘을 실어줬다.
집권 3년차가 '청와대는 김 실장, 내치는 이 총리' 구도로 당분간 가게된 셈이다.
이 총리와 김 실장은 재신임을 받았으나 이번 파동의 상처가 깨끗이 치유된 것은 아니다.
이기준 전 교육부총리와 40년 지기인 김 실장에게 제기된 정실인사 논란 등 국민의 눈에 뭔가 개운치 않은 점을 여전히 남기고 있기때문이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