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리 국민 57%, "종교 있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불교신자 26.7%로 가장 많아

우리나라 국민 100명 가운데 57명꼴로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내 3대 종교(불교, 개신교, 천주교) 가운데 불교신자가 26.7%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교회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대표 이동원 지구촌교회 목사·이하 한미준) 이 한국갤럽과 공동으로 지난해 7∼10월 전국(제주 제외) 만 18세 이상 남녀 6천28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그 결과를 책으로 펴낸 '한국교회 미래 리포트'(두란노)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 가운데 57%가 '종교가 있다'고 답했다.

종교 인구 비율은 1984년 43.8%, 1989년 49%, 1998년 52.8%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여성 가운데 63.8%가 "종교가 있다"고 대답해 남성의 종교인 비율(50.1%)을 크게 앞섰으며, 특히 40세 이상 여성(71.8%)과 50세 이상 여성(71.9%)의 종교 인구비율이 높았다.

종교별 인구로는 불교가 26.7%로 가장 많았고, 개신교(21.6%), 천주교(8.2%), 기타(0.6%) 순이었다.

과거 불교신자였던 사람이 현재도 불교 신앙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는 80.3%로, 천주교 유지율(63.9%), 개신교 유지율(61.8%)보다 높았다.

개종한 종교인을 대상으로 현재 종교로 바꾸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21.6%가 ' 가족의 권유 때문'이라고 답했고, 나머지는 '가족이 다른 종교를 믿어서'(14.9%), ' 시집에서 싫어해서'(6.8%), '마음에 변화가 생겨서'(6.8%) 등을 꼽았다.

신앙 생활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개신교인 가운데 45.5%가 '구원과 영생을 위해서'라고 답해 가장 많았고, 불교인의 74%와 천주교인의 73.2%는 '마음의 평안을 위해서'라고 응답했다.

비종교인들은 '바빠서'(16.9%), '필요성을 못 느껴서'(16.3%), '종교에 관심이 없어서'( 11.8%), '믿음이 생기지 않아서'(9.8%) 등을 종교를 두지 않는 이유로 들었다.

개신교의 교회 출석률은 88.4%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고, 57.9%가 '현재 교회에 다니기 전에 다른 교회에 다녔다'고 밝혔다.

교회를 옮긴 이유로는 이사·결혼(6 3.5%), 거리 문제(12.3%) 등 순이었다.

개신교 신자들의 월 평균 헌금 액수는 12만5천600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