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론-지방자치단체장님에게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21세기는 환경과 문화 그리고 여성의 세기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환경문제를 잘 풀어가지 않으면 우리의 생존 자체도 어려운 시대라고 생각합니다.

21세기 들어와 가장 큰 환경문제는 지구온난화입니다.

지난해 12월 초 일본에 갔을 때 동경 날씨는 26℃로 반팔을 입은 사람이 많았습니다.

그 직후 12번째 태풍이 와서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미국 플로리다도 지난해 엄청난 허리케인이 4차례나 지나갔고 지금 미국 동북부에서는 한파와 폭설로 교통이 두절되는 등 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2003년에는 무더위 때문에 프랑스에서만 1만5천여명이 생명을 잃었습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닙니다.

'토지'의 작가이신 박경리 선생님은 20년 전 강원도 원주에는 감이 열리지 않았는데 지금은 감이 열린다고 불길해 하셨습니다.

2002년 8월말 강릉에서는 기상대가 생긴 이래 처음이라는 '24시간만에 850㎜ 폭우'가 내려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내가 사는 도시에 이런 비가 왔다면 어떻게 됐을까? 생각해 보십시오. 우리 도시에는 절대 이런 일이 없다고 단정할 수 있습니까?

지구가 더워지고 이상기후가 생기는 원인은 잘 아시는 것처럼 석탄, 석유, 가스 등 화석연료를 과다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잘 살기 위해 사용한 화석연료가 이제는 거꾸로 지구적 재앙의 원인이 된 것입니다.

사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은 선진국입니다.

앞선 산업을 일구느라 엄청난 화석연료를 오래 써왔고, 나아가 제3세계까지 자신들의 화석연료 과다소비형 산업을 이식해 에너지를 과소비하게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오늘날 지구는 자신의 환경용량을 초과하게 된 것입니다.

결국 지구온난화를 중심으로 국제적인 환경문제들을 막기 위해 1992년 리우환경회의가 열리게 됐습니다.

176개국 정상들이 지구온난화 방지협약에 서명하고 1997년에 교토의정서가 체결됐습니다.

올해 2월 16일이면 이 협약이 세계에 발효됩니다.

이 협약은 지구촌 인류의 생활양식에 엄청난 변화를 불러오고, 각국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가져올 것입니다.

유럽과 일본은 2008년에서 2012년 사이 이산화탄소 배출권의 할당량을 1990년에 배출된 이산화탄소량보다 5.2% 줄여야 합니다.

만약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하면, 초과 배출한 양에 대해서는 그만큼의 배출권을 여유가 있는 다른 나라에서 구입해야 합니다.

이미 이산화탄소 1톤당 가격이 6만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서명 당시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됐기 때문에 당장 2008년에는 감축 목표치를 할당받지 않습니다.

그러나 2013년에는 할당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우리나라는 세계 6위의 석유소비국이고 세계 9위의 이산화탄소 배출국가입니다.

2010년이 되면 캐나다를 넘어 세계 7위가 되리라 예상됩니다.

2004년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990년의 꼭 2배가 됐습니다.

1인당 1년 배출량이 10톤이나 되어 영국, 프랑스, 일본보다 많습니다.

만약 2013년, 우리에게 이산화탄소 할당량이 부과된다면 우리 경제는 IMF위기 이상의 거대한 타격을 받게 됩니다.

예고된 위기가 다가오고 있지만 정부 대책은 부족합니다.

지자체 단체장도 자신이 일하는 지역의 이산화탄소 1년 배출량을 정확히 모릅니다.

진짜 위기는 이런 준비 소홀과 무지입니다.

독일 베를린 국회의사당 지붕은 태양광 발전으로 전기를 생산합니다.

네덜란드 헤이그 시장은 지난해 '이산화탄소 제로 도시선언'을 했습니다.

34만명이 사는 헤이그가 1년에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210만톤인데 앞으로 해수력 발전과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그리고 지하 2㎞에서 뽑아 올린 지열로 전기를 생산하고 전기를 충전해 자동차가 달리게 됩니다.

건축설계 개념도 완전히 달라져 새로 짓는 건물은 그 자체가 공원같이 만드는 시스템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어제(1월 16일) 유엔 환경계획과 미국, 영국, 호주 환경연구소 과학자들로 구성된 국제기후변화 테스크포스팀은 지구온난화를 이대로 방치하면 10년 뒤 지구에 대 재앙이 올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21세기는 지구환경용량 안에서 살아가는 자원순환형사회가 되어야만 생존이 가능한 시대입니다.

생존을 위해 중앙정부의 준비도 준비지만, 지자체도 준비해야 합니다. 더 많이 생산해야 생존하는 것이 아니라 더 줄여야 살 수 있습니다.

제가 일하고 있는 환경재단과 환경운동연합처럼 이 문제에 도움을 드릴 수 있는 전문단체의 프로그램들도 준비되고 있습니다.

"CO2를 잡아서 환경도 살리고 경제도 살립시다.

"최열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