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국제사회의 기대와는 달리 6자회담을 무기한 연기하고, 핵 보유를 공식 선언하고 나섰다. 미국 부시 정권 2기 출범 후 대북 강경자세가 다소 완화될 조짐을 보이고 6자회담 성사가 무르익어가던 분위기에서 북한의 이 같은 자세로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에도 큰 파장이 우려된다.
북한은 외무성 성명을 통해 "부시 행정부가 상대방을 폭정의 전초기지로 낙인 찍고, 우리를 전면 부정한 조건에서 6자회담에 나갈 그 어떤 명분도 없다"고 주장했다. 또 "우리는 미국 부시 행정부의 증대되는 고립'압살 정책에 맞서 자위를 위해 핵무기를 만들었다"며, 핵 보유를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북한은 과거에도 새로운 협상이 시작되거나 국면이 발생할 때마다 예의 '벼랑끝 전술'을 사용해 왔다. 협상 참여를 기정 사실화해 놓고 더 많은 것을 얻어내기 위해 강경입장을 천명했었다. 북한의 이번 성명도 이런 맥락에서 볼 수도 있겠으나, 부시의 재선을 달가워하지 않았으며 재선 후엔 부시의 취임 연설이나 연두교서를 보고 난 후 입장 표명을 하겠다고 했던 것을 미뤄보면 극한 대결을 선언한 것이 아닌가 싶어 우려되는 점이 없지 않다.
북한의 이 같은 강경자세는 북한을 국제사회서 더욱 고립시키고, 6자회담 당사자들의 북핵 평화적 해결 노력에도 찬물만 끼얹을 뿐이다. 더욱이 부시 2기의 행정부는 북한의 '벼랑끝 전술'위협에는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는 입장이 아닌가. 선거 전부터 북핵 문제엔 '더 이상 기달릴 시간이 없다'던 미국내 강경파의 입지만 높여 주게 돼 북한이나 한반도에 이로울 것이 없다.
북한의 김정일 체제가 살 길은 핵 포기 뿐이다. 그것은 6자회담 당사국은 물론 국제사회의 일치된 요구다. 북한의 재고와 더불어 한국과 미국은 파국으로 치닫지 않도록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