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 이농현상은 전국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이다. 전국 최고령 지역도, 전국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시·군도 모두 경북에 있다. 아기 울음소리가 끊긴 지 오래며, 수십 년째 인구가 줄고 있다.
◇인구
7일 경북도가 발간한 통계연보(2003년까지 조사)에 따르면 경북 인구는 26년째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1979년 498만 명을 기점으로 해마다 인구가 1만~2만 명씩 줄어 2003년엔 274만 명까지 추락한 것.농민 감소는 훨씬 더 심각하다. 2003년 55만9천684명으로 20년 만에 절반 밑으로 뚝 떨어졌다. 또 85년에는 경북 전체 인구의 절반 가량이 농민이었으나 지금은 10명 중 2명밖에 되지 않는다.
인구가 가장 적은 군은 울릉군으로 9천252명이며 전국 시·군 중에서도 인구가 가장 적다. 영양, 군위, 청송, 고령 등도 인구가 2만~3만 명에 불과하다.
20년 전만 해도 읍·면 인구는 대개 1만 명이 넘었다. 하지만, 지금은 인구가 2천 명도 안 되는 읍·면이 19개나 됐다. 특히 상주시 화남면 경우 인구가 고작 973명으로 도내 읍·면 중 인구가 가장 적다.
◇너도나도 떠난다.
'들어오는 사람'보다는 '나가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농사 지을 사람이 없어 농사를 포기하거나 자녀의 교육을 위해, 또 결혼과 직장을 구하러 너도나도 떠나고 있는 것이다.
2003년에만 17만여 명이 고향을 등지고 대구, 경기, 서울, 부산, 경남 등지로 떠났다.
◇고령화
인구 감소는 고령화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2003년 경북 전체 인구의 65세 이상 노인 비중은 12.3%로 전국 16개 시·도 중 3위를 기록했다. 노인 비중은 1980년 4.52%에 비해 3배 가까이 증가했다.
또 65세 이상 노인 비중이 전체의 20%를 초과하는 초고령화 시·군은 의성, 군위, 예천, 영양, 청도, 청송, 영덕, 봉화 등 모두 8곳이다. 나머지 시·군도 현 추세라면 4, 5년 내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의성군 경우 전국 시·군 가운데 평균연령(45.6세)이 가장 높은 지역이며 군위군(45.1세)은 두 번째, 영양군(44.6세)은 다섯 번째로 높다.
인구 고령화는 결국 '농촌 고령화'로 나타나 농림부에 따르면 2003년 경북 전체 농가 인구 중 50세 이상 비중은 무려 62.1%. 특히 이 중 60세 이상의 노인 비중은 절반이나 됐다.
◇사망> 출생
지난 80년대만 해도 출생이 사망자 수를 크게 앞질렀지만 지금은 사망이 출생자들을 압도해버렸다.
출생이 200명 미만인 도내 3곳으로 가보자. 울릉군의 1983년 출생자는 413명으로 사망자 155명의 3배 가까이 됐다. 그러나 2003년 출생은 단 56명이다.
군위군 경우 83년만 해도 출생(1천580)이 사망(871명)의 배에 달했지만 2003년엔 사망(412명)이 출생(141명)을 압도했다. 영양군 역시 2003년 사망이 245명, 출생 123명을 역전시켰다.
시·군의 읍·면 중 출생이 채 10명도 안 되는 곳이 부지기수며 읍·면의 자연부락마다 아기 울음소리가 짧게는 수년, 길게는 수십 년째 끊긴 곳도 갈수록 늘고 있다.
◇학교
시·군 곳곳에서 아기 울음소리가 끊기면서 학생이 줄고, 학교도 하나 둘 사라지고 있다.
2003년 초·중·고교생은 52만7천1명. 도민 10명 중 2명도 안 된다. 20년 전에 비해선 절반으로 급감했다. 학생 수 감소에 따라 문을 닫는 학교가 급증, 지난 15년 동안 259개교가 문을 닫았다.
◇경지면적
농사 지을 사람들이 없다면. 당연 땅도 놀릴 수밖에 없는 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따르면 경북은 농지가 15년 전보다 15.4% 줄어 전국 평균 12.4%를 웃돌고 있다. 이에 따라 쌀 생산량도 1986년 84만t에서 2003년 55만t으로 급감했다.
기획탐사팀=이종규기자 jongu@imaeil.com 이상준기자 all4you@imaeil.com사진: 경북 북부지역 등 농촌지역에서 구인난으로 경작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20년간 일궈온 사과재배를 포기한 박경래(71·경북 의성군 상리)씨가 묘목을 잘라내고 있다. 박 할아버지는"매년 과수원 일꾼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라며"사과나무를 뽑아낸 2천여 평의 땅에 혼자 경작이 가능한 콩을 심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