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결함에 대한 제조업체의 자발적 '리콜'(recall)이 지난 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12일 재정경제부가 농림부와 건교부, 식약청 등 관련부처를 통해 리콜실적을 파악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해 리콜실적은 168건으로 2003년의 74건보다 2.3배로 늘었다.
자동차관리법에 따른 자동차관련 리콜이 134건으로 가장 많았는데 ABS(바퀴잠김방지 브레이크시스템) 불량, 연료누수 위험, 안전띠 고정장치 부적합, 배출가스 허용기준 초과 등의 문제였다. 또 취사중 증기누수 등의 문제로 한 가전업체의 전기밥솥에 대해 리콜이 실시됐고 도어록과 다리미 등 가전제품의 리콜도 있었다.
리콜제도는 사업자 스스로 결함물품에 대해 리콜을 실시하는 자발적 리콜과 위해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제품에 대해 중앙행정기관의 장이나 시.도지사가 리콜실시를 강제하는 리콜명령제 등 두가지가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