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둘레가 남자 36인치, 여자 34인치가 넘는 사람이라면 대사증후군을 의심해 봐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세대의대 영동세브란스병원 안철우 교수팀은 지난 2001년 4~6월 병원을 찾은 성인남녀 824명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여부를 조사한 결과 허리둘레가 남자는 36인치(90㎝), 여자는 34인치(85㎝)를 넘을 때 대사증후군일 가능성이 훨씬 높아졌다고 28일 밝혔다.
전체적인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1.7%로 집계됐다.
대사증후군은 인슐린이 포도당을 분해한 뒤 이를 세포 안으로 넣지 못해 생기는 질환으로 고밀도콜레스테롤(HDL)의 혈중수치가 낮으면서 혈압, 혈당, 혈중 중성지방은 높고 복부비만인 경우를 말한다.
이중 3가지 이상의 증상이 있으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되는데 이 경우 심장병 위험도는 한 가지 질환을 가졌을 때보다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 중 하나인 복부비만의 경우 국내에서는 그동안 미국의 기준(남 41, 여 35인치)을 따라오다 2000년부터 서태평양지역 기준치(남 36, 여자 32인치)를 새롭게 적용해왔다.
그러나 이번 조사결과 남성은 서태평양지역의 기준치와 같았지만 한국인 여성의 경우는 허리 치수가 2인치(5㎝) 늘어난 34인치(85㎝)까지 정상으로 나타났다.
안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 외국기준치를 사용하면 정상 여성이 대사증후군으로 판명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면서 "서구인과 비해 신체구조도 작고 체질량 지수도 낮은 한국인에게 미국 기준의 대사증후군 진단은 문제가 있었다"고 말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