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와 국회, 청와대와 열린우리당 사이의 각종 현안을 조율하는 일은 누가 할까? 청와대에 정무수석 자리가 없어진 이후 비서실 인사가 이뤄질 때마다 '정무 기능'의 향배가 관심사다. 이강철(李康哲) 시민사회수석과 조기숙(趙己淑) 홍보수석이 임명된 뒤 기자들은 첫 상견례에서 "정무 기능을 맡느냐"고 똑같은 질문을 던졌다.
이 수석은 이에 대해 "전체적인 정무 기능은 비서실장이 맡고 있다"며 "제가 당에서 일하다가 와서 아무래도 당의 사정을 잘 알고 있으므로 필요하면 실장을 돕겠다"고 말했다. 정무 기능 보좌역을 맡겠다는 뜻.
조 수석은 한발 더 나아가 "대통령께서 정무적 판단을 하도록 돕겠다"고 했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임명장을 수여하며 '정무적 조언'을 부탁한 때문이었다.
하지만 '정무 역'이 당정분리 원칙을 파기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에 휩싸일 우려가 있다고 본 듯 노 대통령은 28일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과거와 같은 정무수석은 없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김종민 청와대 대변인은 이에 대해 "정무 역은 어느 한 수석실이 담당하는 것이 아니고 업무와 관련해 해당 수석실이 담당한다는 취지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김 대변인은 또 각 부처의 청와대 업무보고와 관련, "균형발전과 동반성장을 기조로 한 업무에 대해 중점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