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년부터 군(軍)에서 스스로 목숨
을 끊은 장병도 자살 원인 등에 따라 예우와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
다.
5일 군 관계자에 따르면 국방부는 금년도 국방개혁 과제의 하나로 군내 자살자
에 대한 '예우 및 보상' 방안을 마련키로 하고 필요하면 이를 법제화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
이 관계자는 "이 같은 방침에 따라 국방부가 최근 육.해.공 각군을 대상으로 세
부적인 의견 수렴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먼저 군 자살자들에 대한 예우와 관련, 이들만 한데 모은 납골당이나 전용 묘지
를 설치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군내 자살자들을 국립묘지에 안장하자는 의견도 일부 제기됐지만 국민정
서상 이를 실현시키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또 군내 자살자에 대해 장례비 정도만 지원했던 보상을 최대 수 천만원 수준으
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병행해 자살 분류기준을 구타, 폭언, 왕따 등 부대측에 일부 귀책사유가
있는 경우와 자살자 개인에 귀책사유가 명백한 경우 등으로 재정립, 보상을 차등화
하는 방안도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국방개혁 과제의 하나로 군 자살자 예우 및 보상 방안을 금년내로
확정, 내년 1월중 시행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군 자살자에 대한 예우 및 보상 방침은 자녀 등의 갑작스런 자살을 쉽게 받아들
이지 못하는 유족들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달래자는 취지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또 그동안 군이 국방의무를 수행하다 자살한 장병들의 죽음을 너무 소홀히 다뤄
왔다는 지적과 '이제는 이들의 명예를 살리는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판단
도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동안 군 자살자 유족들이 법원에 제기한 손해배상소송에서 군의 손해배
상 책임을 인정하는 판례가 잇따른 것도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방부는 이와 함께 자살예방책의 일환으로 사회복지사나 심리상담 전문가, 군
생활 20년 이상 경력자중 10명 안팎을 오는 4월께 전문상담 요원으로 채용하는 방안
도 고려중이다.
국방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한 해 군 자살자는 총 66명으로 하루 평균 5.5명이
힘든 훈련과 통제된 병영환경, 선임병 등에 의한 가혹행위 등을 이유로 스스로 목숨
을 끊었다.
국방부는 그러나 인성검사를 통해 사고 우려자를 조기에 가려내 특별관리하고
이들 중 증세가 심각한 장병들을 대상으로 '비전캠프'를 운영, 자살자수를 줄이는데
상당한 효과를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노력에 따라 지난 94년 155명, 95년 100명이던 자살자 수가 2003년 69
명, 지난해에는 66명으로 줄었다는 것이다.
또 2003년의 경우 국내 20대 민간인 자살자 수가 782명으로 10만명당 18.9명인
데 비해 군내 자살자 수는 69명으로 10만명당 9.8명에 그쳤다고 국방부는 덧붙였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