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서 승용차로 30, 40분이면 갈 수 있는 고령. 대가야 역사의 흔적이 숨쉬는 고령은 대구 근교에서 가장 역사성이 있고 자연미가 넘치는 지역이다. 대가야의 왕릉군과 선사시대 암각화 등 30여곳의 크고 작은 유적지와 관광지가 산재해 있다. 역사의 줄기를 거슬러 올라 가야문화의 보고, 고령으로 떠나보자. 고령에서는 다음날 2일부터 5일까지 4일간 '대가야체험축제'도 열린다.
▲대가야왕릉전시관과 지산동 고분군
왕릉전시관은 우리나라 최고의 순장묘인 지산동고분군 44호 고분을 재현해 놓은 전시관이다. 순장이란 죽은 사람을 위해서 살아있는 사람이나 동물을 죽여서 함께 매장하는 장례행위. 전시관 중앙에는 발굴 당시의 실제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 놓고 있어 옛무덤에 대한 신비감마저 들게 한다. 전시관 옆에는 대가야박물관이 건립되고 있는데, 축제 시작일인 다음달 2일 개관한다.
왕릉전시관을 나와 뒷산으로 10여분 정도 올라가면 지산동 고분군이 나온다. 가야 최대의 고분군이다. 고령읍을 감싸는 주산의 남동쪽 능선을 따라 200여기의 크고 작은 고분이 펼쳐져 있다. 고분군 사이로 걸어가는 길은 산책길. 길도 가파르지 않고 중간 중간 벤치가 있어 쉬어갈 수 있다. 간간히 불어오는 솔바람도 기분이 좋다. 꼭대기에 서면 고령읍이 한눈에 들어온다.
▲고령은 우륵의 고향
고령은 왕산악, 박연 등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악성으로 불리는 우륵의 고향. 현의 노래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우륵이 가야 12곡을 작곡한 것으로 알려진 고령읍 쾌빈리 야산에 우륵을 기념하는 탑과 영정을 모신 비각이 세워져 있다.
▲암각화
고령에는 가야문화만 있는 게 아니다. 1971년에 발견된 개진면 양전리 암각화는 선시시대 문화체험에 도움이 되는 역사 유적이다. 높이 3m, 넓이 6m의 산비탈 면에 위치한 바위를 들여다보면 동심원과 십자무늬, 탈 모양이 새겨져 있다.
▲대가야문화학교
산 사이로 달이 뜨는 마을 쌍림면 월막리. 시골분교의 정취가 흠뻑 묻어나는 이곳에 전통문화체험학습장인 '대가야문화학교'가 있다. 세계문화유산인 팔만대장경과 가훈, 명언 등을 직접 판각할 수 있고, 대가야 문화유적을 탐방할 수 있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판화를 만들어 볼 수 있으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인쇄문화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대장경 체험 프로그램과 함께 한지 공예, 다도교실, 사물놀이, 민요 배우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다. 문의: 054)954-0080)
▲개실마을
쌍림면 합가1리에 있는 개실마을은 영남학파의 종조인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후손들이 350여년간 대를 이어 살아온 일선 김씨의 집성촌이다. 'ㅁ'자형 종택 뒤로 대나무가 병풍처럼 펼쳐져 있으며 앞마당이 넓은 게 특징. 뒤편에는 사당이 있다.
▲고령시장
4일, 9일이면 서는 고령장은 시골장 치고는 규모가 제법 크다. 장날이면 어물전, 과일전, 곡물전, 채소전, 잡화전 등이 늘어선다. 장터에서 옛 시골장의 분위기를 맛보려면 난전을 찾아야 한다. 난전은 시골할머니들의 몫이다. 시장 입구마다 보따리 보따리 풀어놓고 차린 장마당에는 계절을 반영하듯 이른 봄나물이 풍성하다. 텃밭에서 뜯어온 냉이, 달래, 씀바퀴, 돌나물 등 흙냄새 섞인 봄나물들이 보따리마다 소담스럽게 담겨있다.
저울도 없다. 한 움큼씩 판다. 단돈 1천, 2천원이면 덤으로 한 봉지가 넘친다. 농산물은 할인점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가격이 싼데다 푸근한 인심을 함께 할 수 있어 신세대 주부들도 즐겨 찾는다. 물건 값을 흥정하는 모습, 무쇠에 국밥을 끓이는 아주머니, 구수한 음식냄새 등 정겨운 모습들이 추억을 더듬게 한다.
◇가는 길
대구- 88고속도로- 성산IC에서 빠져나와 국도를 따라 금산재를 넘어 고령읍으로 가면 된다. 조금 빨리 가는 길도 있다. 성산IC에서 빠져나와 새로 난 4차로 국도를 타고 금산재를 터널로 통과하면 수월하다.
◇'대가야체험축제'
'대가야체험축제'가 4월 2일부터 5일까지 4일간 고령읍 왕릉전시관 및 박물관 일원에서 열린다. 군민의 날인 2일 선포식을 시작으로 펼쳐질 이번 축제는 대가야 문화 체험뿐만 아리라 암각화체험, 무덤체험, 전통한식마을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꾸며져 있다.
이번 축제는 체험위주의 행사가 많은 것이 특징. 축제장 안에서는 대가야의 순장제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실물크기의 재현된 순장무덤의 모형에 누워 대가야 시대의 순장에 대한 공포를 체험할 수 있다. 또 대가야 고분 발굴과정에 참여하는 고대유물발굴체험과 대가야 고분의 축조술을 체험할 수 있는 고분축조체험도 마련돼 있다.
딸기농장체험도 할 수 있다. 체험비를 내면 원하는 만큼 딸기를 따고, 현장에서 따먹을 수 있으며 직접 딴 딸기를 집으로 가져갈 수도 있다. 전통마을에서는 엿 만들기, 한과 만들기 등의 체험과 함께 마을장터에서 특산품을 구입할 수 있다.
그 외 암각화 체험과 대가야 토기체험, 가야금 제작체험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다. 문의: 054)950-6424(대가야체험축제추진위원회)
사진.박순국편집위원 toky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