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예산처가 2007년부터 건강보험 지역가입자들에 대한 일괄적인 보험료 지원을 중단할 방침을 세우고 있어 850만 가구 지역가입자들의 건강보험료가 100% 가량 상승할 전망이다.
그러나 지역가입자들과 건강보험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 등이 강하게 반발할 것으로 보여 추진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기획예산처는 10일 의료복지 분야에 대한 재정지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의 50%를 정부에서 일괄지원하는 것을 내년 말부터 중단하고 대신 이 재원으로 저소득계층의 의료비를 직접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민건강보험재정건전화 특별법에 따라 지역가입자 보험료의 50%를 국가예산(35%)과 건강증진기금(15%)으로 지원하고 있는데 이 법이 만료되는 내년 말부터는 이같은 지원을 중단한다는 것이다.
기예처 관계자는 "지역가입자 중에는 재벌이나 의사, 변호사 등 소득이 높은 전문직들도 대거 포함돼 있는데 이들의 보험료를 국민세금으로 보전해주는 것은 형평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이같은 무차별 지원을 중단하고 돈이 없어 제대로 의료혜택을 못받는 차상위 계층(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소득기준의 100~120% 수준) 등에 직접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 기획예산처의 확고한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변양균 기예처 장관도 최근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에 대한 일괄지원은 불합리한 것"이라고 밝혀 재정지원 중단을 시사한 바 있다.
예산과 건강증진기금의 지원이 중단될 경우 현 수준의 의료보장을 유지하려면 지역가입자 보험료가 2배 정도로 올라가야 한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는 예산지원이 현 수준은 유지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기예처가 예산지원을 중단할 경우 보험료 상승이 불가피해 지역가입자들의 큰 반발이 예상된다"면서 "저소득층에 지원을 몰아준다고 하더라도 가입자들이 내던 보험료를 대신 내주는 정도일텐데 이 정도로 저소득층의 의료접근성이 개선되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기예처는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비 직접지원 방안으로 차상위계층에 속하는 사람들로부터 소득신고를 받아 검증한 뒤 이들이 의료서비스를 받을 때 의료비를 보전해주는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