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부터 일주일간 열리는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전체회의를 앞두고 여당 재경위원들과 현 정부 경제팀 사이에 예사롭지 않은 '냉기류'가 감돌고 있다.
야당 의원들이 '경제실정(失政)'을 주장하며 공세를 펼 때 가급적 정부를 두둔해왔던 여당 의원들이지만 이번에는 "우리도 가만있을 수 없다"며 단단히 벼르고 있는 것.
정부의 경기예측과 대응능력 부재, 당국자의 잦은 발언 번복과 그에 따른 시장의 혼란, 집값 상승을 야기하는 부동산 정책의 표류를 더이상 두고볼 수 없다는 여당 내 인식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탓이다.
통화정책을 관장하는 박승(朴昇) 한국은행 총재가 일차 타깃이 될 전망이다.
말 한 마디로 시장을 좌지우지하는 영향력을 지닌 중앙은행 총재가 최근 신중치 못한 발언으로 국내외 금융시장을 혼란에 빠뜨렸다고 보고 '책임'을 반드시 추궁하겠다는 게 여당의원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한은은 지난 2월 임시국회 '업무현황' 서면자료에 담은 '외환보유액의 투자대상 통화 다변화'라는 문구가 문제가 돼 전세계 금융시장에 충격을 준 데 이어, 지난달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박 총재가 '외환시장 불개입' 입장을 시사한 것으로 보도되면서 세계 금융시장이 또다시 충격에 휩싸인 바 있다.
이와 관련, 이계안(李啓安) 우제창(禹濟昌) 의원은 13일 재경위 전체회의에서 박 총재가 스스로 용퇴해야 한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의원은 미리 배포한 질의자료를 통해 "외환운용과 관련된 실언으로 인한 막대한 환율방어 비용이 소모됐고, 시장의 신뢰를 상실한 만큼 그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우 의원도 12일 보도자료를 내고 "한은의 경기판단 능력이 심각한 문제점을 노출해 시장의 경제주체들이 중앙은행의 금융시그널을 더이상 신뢰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며 "해외 외환시장에서의 신뢰도 회복과 국내시장에서의 중앙은행 위상 복원을 위해 박 총재의 용퇴는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경제수장인 한덕수(韓悳洙)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에 대한 여당의원들의 시선도 곱지는 않다.
여당 의원들은 재경부가 내놓은 경기예측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데다 부동산 투기억제 정책의 '약발'이 시장에서 제대로 먹혀들지 않는다고 보고 이를 집중적으로 따지겠다는 전략이다.
한 초선의원은 "경제정책의 수장으로서 멀리 내다보고 설계를 해나가야 하는데,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 대처하기에 바쁘다"며 "특히 자기만의 '색깔'을 내지 못한 채 청와대와 총리실에 휘둘리는 인상을 보이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