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젠슨 황의 깜짝 선물, GPU 26만장 한국행…'AI 깐부동맹'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삼성·현대차·SK·네이버와 초대형 협력…'소버린 AI' 구축 속도전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접견에 앞서 국내 기업 대표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젠슨 황, 이재명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접견에 앞서 국내 기업 대표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젠슨 황, 이재명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연합뉴스

엔비디아가 31일 한국을 겨냥한 AI 인프라 대규모 공급 및 생태계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오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 특별 세션 무대에 올라 정부·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네이버클라우드 등 국내 4개 기업과 함께 총 약 26만장 규모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한국에 투입하는 대규모 협력 계획을 발표했다.

엔비디아 등에 따르면 한국은 26만개에 달하는 엔비디아의 GPU를 활용해 AI 인프라를 구축한다. 정부는 우선 약 5만장 규모의 GPU를 확보해 산업·기업의 AI 개발을 지원하고, 삼성·SK·현대차 각 그룹 역시 각각 최대 5만장 수준,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장가량을 도입한다. 엔비디아 측은 "한국의 전체 AI GPU 수량이 약 6만5천개에서 30만개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가 공급할 주요 제품은 최신 세대인 블랙웰 아키텍처 기반 GPU이며 일부는 'RTX 6000 시리즈'도 혼합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물량 확보는, 최근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및 하이퍼스케일러들이 GPU 수요 급증으로 공급 부족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이 우선적 배정 대상이 되었다는 의미를 갖는다.

협력의 핵심은 네트워크·제조·모빌리티·통신 등 한국 산업의 강점 영역과 엔비디아의 AI 플랫폼 역량이 맞물린다는 점이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제조에 AI를 접목한 'AI 팩토리' 구축을 위해 엔비디아와 함께 5만장 GPU를 도입해 디지털 트윈·제조 지능화에 나선다. SK그룹은 제조업 AI 클라우드 환경 구축과 로보틱스·디지털 트윈을 위한 AI 인프라를 마련하며, 현대차그룹은 자율주행·스마트팩토리·로보틱스 분야에서 약 4조원이 넘는 공동투자를 통해 5만장 GPU를 활용한 '피지컬 AI' 생태계를 조성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산업 현장 AI 전환을 위한 '피지컬 AI' 플랫폼 공동개발에 나서고, LG 등도 양자컴퓨팅·6G 무선 네트워크 분야에서 협력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양사 협력과 관련해 "엔비디아는 이미 AI 시대를 내다본 혁신 기업"이라며 "앞으로도 엔비디아와 함께 변화를 주도하고, 미래를 위한 새로운 표준과 혁신을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한국의 제조업 강점과 엔비디아의 최신 AI 인프라가 만나 산업 전반의 AI 전환을 가속하는 윈윈 구조가 형성될 것"이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