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삼청교육대'등 4대의혹 진상 규명키로

5.18민주화운동.실미도.녹화사업 포함

신군부가 1980년 사회정화 정책의 일환으로 군부대내에 설치했던 삼청교육대 등 군 관련 4대 의혹사건이 진상규명 대상으로 확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과거사위)의 고위 관계자는 28일 "군사정권 시절군이 직.간접 개입하고 아직까지 국민적 의혹이 가시지 않고 있는 삼청교육대와 5.1 8민주화운동, 실미도사건, 학원녹화사업 등 4개 의제를 1차 규명 대상으로 확정할계획"이라고 밝혔다.

과거사위는 29일 오후 군 및 민간위원이 참석하는 전체회의에서 이들 4대 의혹사건을 진상 규명 대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한 때 군 차원에서 삼청교육대를 조사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국회 차원의 조사가 충분히 이뤄졌고 국무총리실 주관으로 피해자 보상업무가 진행 중인 만큼 다시 진상을 규명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따라서 삼청교육대가 진상규명 대상에 포함되면 군이 민간위원들의 요구를 적극반영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국방부 과거사위는 이와 함께 5.18민주화운동 당시 발포 명령자와 사망자 수, 교도소 재소자들에 대한 가혹 행위가 있었는지 등도 규명할 계획이다.

또 1980년대 초반 자행된 녹화사업도 규명대상에 포함될 것이 확실시 된다. 198 0년대 초반 군에 강제징집된 대학생 중 녹화사업 대상자는 265명이었고 이 가운데 6 명이 의문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통령 직속의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는 녹화사업의 전모를 밝히기 위해 2001년1월부터 조사활동을 벌였으나 결정적인 자료 부재와 증거 및 증언 미확보 등으로 진실 규명에 한계를 드러냈었다.

실미도사건은 1968년 4월 북파공작을 위해 지옥훈련을 받은 공군 특수부대원들이 3년4개월간 북파 기회가 주어지지 않자 훈련장소인 실미도를 탈출해 청와대로 향하던 중 사살되거나 자폭한 사건으로 최근 영화 상영을 계기로 국민적 관심사로 떠올랐으나 진상은 철저히 은폐돼 왔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