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노동계가 정부의 경제·노동정책에 반발해 4일 총파업을 벌여 열차와 항공기 운항, 우편 배달 등 공공 서비스에 큰 차질이 빚어졌다. 파리, 마르세유 등 전국의 주요 도시에서는 수만 명이 거리로 몰려 나와 시위를 벌였고 일부 도시에서는 시위대와 경찰이 충돌했다.
24시간 기한으로 전날 밤 시작된 파업으로 파리 지하철과 버스가 파행 운행됐고 교외선의 3분의 1만 정상소통돼 출근길 직장인들이 불편을 겪었다. 마르세유, 리옹, 낭트, 루앙 등 지방 도시들에서도 교통 소통에 차질이 빚어졌다. 파리의 양대 공항인 샤를 드골과 오를리에서는 단·중거리 노선 위주로 취소가 이어졌다.
또 이날 정오 집계로 철도 근로자와 교원 노조원 30%, 전력 업체 근로자 23%, 우체국 직원의 15~30%가 파업에 동참했다고 AFP 통신이 전했다. 인쇄 직원들이 일손을 놓는 바람에 일간 르 피가로 등 전국지 대부분도 배달되지 못했다. 신문들은 각 가정의 우체함에 "본의 아니게 신문을 배달할 수 없게 됐다"며 사과 전단을 돌렸다.
국영 여객선 업체 민영화에 반발하는 시위가 이미 이어지고 있는 코르시카의 아작시오에서는 두건을 쓴 시위대 100여 명이 경찰과 격렬히 충돌했다. 출범한 지 4개월 된 도미니크 드 빌팽 총리 정부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동시장유연성 강화, 국영기업 민영화 등 적극적인 개혁 정책을 펴왔으나 노동계와 좌파 진영의 거센 반발에 직면하며 최대 시험대에 올랐다.
특히 20인 이하 고용 업체가 고용 후 첫 2년간 고용과 해고를 좀 더 쉽게 하도록 허용한 최근 정책이 노동계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여론조사 기관 BVA가 1천4명에게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72%가 이번 파업이 정당하다고 응답했고 62%가 현 중도 우파 정부의 경제 정책에 반대했다.
좌파 정당들인 사회당, 녹색당, 공산당도 정부의 초자유적인 논리에 맞설 필요가 있다며 노동계에 지지를 보냈다. 빌팽 총리 취임 이후 전국적인 파업은 이번이 처음인데 최근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 중 하나로 떠오른 빌팽 총리가 어떤 해법을 내놓으며 위기를 헤쳐나갈지 주목된다.
파리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