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관광지를 여행하다 보면 현지인들이 서투른 발음으로 '빨리 빨리'를 외치며 호객하는 것을 보고 고소(苦笑)를 금할 수 없다. 우리네 성정(性情)을 단적으로 희화한 풍경이기 때문이리라.
사실 어디를 가서 무엇을 하든지 '빨리 빨리'가 입에 붙어 조급증을 부리는 것이 오늘날 한국인의 모습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게 되었다. 그러나 그 '빨리 빨리'에도 되는 것이 있고 안 통하는 것이 있는 법.
전 세계적으로 읽히는 '리더스 다이제스트'라는 잡지가 있다. 미국에서 1922년 2월 D.월리스가 창간한 이 잡지는 세계의 중요 잡지나 단행본에서 흥미가 있는 것을 골라서 요약 소개하는 것으로 성공했다.
'리더스 다이제스트'는 음식으로 치자면 인스턴트 식품과 같다고 할 것이다. 시간에 쫓기며 사는 현대인들에게 시간을 절약하며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수단으로서는 매우 훌륭한 아이디어인 셈이다.
'레미제라블' 같은 책을 독파하는 사람이 드문 요즘이다. 굳이 책을 보지 않아도 비디오 한 편이면 장발장의 기구한 운명이 펼쳐지는 스토리를 뚜르르 꿰뚫을 수 있으니 그럴 만도 하다.
그런 까닭에 책을 만드는 사람들도 독자의 기호에 맞추려고 가급적 '빨리 빨리'가 통하는 편집 방향을 선택하고 비주얼 디자인을 선호하게 되었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그 '빨리 빨리'가 결코 올바른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독자나 책을 만드는 사람들 모두 알고 있다.
한 단어 한 단어 씹어가며 다독다독 빠져드는 독서의 세계를 열어줄 의무가 책을 만드는 사람에게도 있지만, 독자들도 결코 면피할 수 없음을 명심해야 하지 않을까. '빨리 빨리'가 능사가 아닌 것도 함께.
박상훈(소설가.도서출판 맑은책 주간)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