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황우석 교수와 김선종 연구원 등 핵심 인물들에 대한 소환 조사가 예정된 다음주 중반에 사건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15일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줄기세포 전문가의 의견 청취와 주요 핵심 관계자들에 대한 조사가 아직 안 끝나 사건의 실체를 말하기는 이르다. 수사를 하다 보면 항상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조사 전까지 누가 주범인지) 결론 낼 단계가 아니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번 주말까지 제3자적 위치에 있는 줄기세포 전문가들에 대한 소환 조사를 마치고 다음주 초부터 황 교수와 김선종 연구원, 윤현수 한양대 교수, 이양한 국과수 연구실장 등 핵심 4인을 조사해 조작 사건의 주범과 공모 관계를 최종 결론 낼 계획이다.
검찰은 그간 논문 공저자와 서울대·미즈메디병원 연구원들을 상대로 한 광범위한 조사를 통해 미즈메디의 수정란 줄기세포 4번과 8번(MIZ-4, 8)이 황우석 교수팀의 줄기세포 2번과 3번(NT-2, 3)으로 둔갑하게 된 과정에 김선종 연구원이 깊숙이 관여했다는 정황을 포착했다.
검찰은 김선종 연구원이 출석하면 미즈메디의 수정란 줄기세포를 황 교수팀의 줄기세포 2, 3번 배양용기에 '섞어넣기'를 한 이유와 황 교수 등 다른 핵심 연구자들과 공모했는지 등을 캐물어 혐의가 드러나면 형사처벌할 방침이다.
검찰은 2005년 1월 9일 2∼7번 줄기세포가 고의로 오염되는 사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김선종 연구원을 상대로 이 부분에 대한 조사도 벌일 계획이다.
검찰 관계자는 "(고의 오염사고 여부는) 김선종 연구원을 조사해 봐야 한다"고 언급, 김 연구원에게 상당한 혐의를 두고 있음을 시사했다. 검찰은 또 2004년 사이언스 논문과 관련해서는 황 교수와 박종혁·유영준 연구원이 줄기세포(NT-1)가 수립됐다고 믿고 각종 데이터 조작을 감행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와 관련, 검찰은 '처녀(단성)생식' 논란이 있는 황 교수팀의 1번 줄기세포를 과학적으로 재검증할 필요가 있는지와 필요하다면 재검증을 의뢰할 기관이 있는지 등을 검토하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