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들불처럼 일어난 기미년 독립만세 운동 당시 안동 하회마을에서는 10대 소년들의 '대한독립 만세' 함성이 있었다.
87년 전인 1919년 3월27일 풍산 류씨 문중의 청년 류점등(柳點登·1897∼1954)은 하회마을 내 풍남공립보통학교(풍남초교 전신)에 재학중인 소년 23명을 모아 오전 11시쯤 마을 강변 만송정으로 향했다. 류점등을 빼고는 모두 16세 이하였던 이들은 숨겨 온 태극기를 꺼내들고 목청껏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다. 그리고 잠시 후 마을로 들어가 태극기를 흔들며 골목골목을 누비며 만세를 불렀다.
기미년 당시 3월14일부터 일어난 안동지역 만세운동 중 맨 마지막에 기록돼 있지만 앳된 소년들의 함성은 소년들이 나라의 광복을 연다는 희망을 전하기에 충분한 사건. 전례가 없던 소년들의 만세운동은 곧 안동읍내에 알려져 이날 오후 일본 수비대가 출동했다. 마을에 들이닥친 일본 헌병들은 닥치는대로 소년들을 잡아갔고 류점등도 체포됐다. 수비대는 부모들의 서약서를 받고 곧 소년들을 풀어줬지만 주모자였던 류점등은 수개월 동안 옥살이를 했다는 짧은 기록만 전해지고 있다.
아쉽게도 지금은 소년들의 독립만세 운동에 대해 기억하는 하회마을 사람들은 없다. 87년이라는 세월이 흐르도록 단 한번도 이 궐기의 의미를 되짚어 보지 못한 때문이다. 다만 당시 소년들이 다녔던 풍남공립보통학교 터가 아직 남아있어 이들의 자취를 어렴풋이 찾아볼 수 있을 뿐이다.
안동·권동순기자 pinoky@msnet.co.kr
사진 : 기미년 당시 안동 하회마을에 문을 연 풍남공립보통학교 학생들이 만세운동을 벌인 다음해인 1920년 수학여행때 찍은 사진. 사진속의 소년들 상당수가 기미년 하회마을 소년 독립만세 운동에 참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