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골프 파문에 휩쓸린 이해찬 총리의 사퇴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 총리가 5일 대국민 사과와 함께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아프리카 순방(6~14일) 직후 거취를 표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일단 대통령에게 자신의 거취문제를 언급하겠다는 것 자체가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노 대통령 입장에선 그의 사퇴로 초래될 향후 국정운영상의 부담 등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만큼 이를 수용할지 여부는 속단키 어렵다.
그러나 어느 쪽으로 가닥이 잡히든 간에 '이해찬 골프 파문'이 향후 정국의 뇌관으로 작용할 것이란 점만은 분명해지고 있다.
물론 이 총리 자신의 거취 표명에도 불구하고 유임되는 쪽으로 보는 시각도 상당하다. 대국민 사과라면서 이를 직접하지 않고 총리 공보수석을 통해 간접적으로 입장을 표명했다는 점 자체가 석연치 않다는 것이다. 또한 사의 표명이라는 일반적인 표현을 굳이 배제하고 '거취' 표명이란 애매한 용어를 동원한 것도 마찬가지라는 것.
때문에 파문 확산을 막기 위해 서둘러 거취를 표명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뒤 대통령 순방 기간인 향후 열흘 동안 비난 여론이 가라앉으면 '없었던 일'로 하겠다는 계산이 했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결국 거취 표명이 시간벌기용 카드로 비쳐지는 셈이다.
청와대 측은 고민에 빠져 있다.
이 총리가 사퇴할 경우 그동안 실세 총리로 분권형 국정운영을 해왔던 틀 자체가 흔들리고 여권의 역학구도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노 대통령의 임기 후반기 국정운영 차질, 나아가 레임 덕(권력 누수)까지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유임시키는 것도 힘들다. 열린우리당의 지방선거 전망이 그리 밝지 않은 상황에서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것. 게다가 한나라당에서는 사퇴하지 않을 경우 해임 건의안을 제출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인지 노 대통령도 이 총리 전화를 받고 "순방을 다녀와서 보자"고만 답했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사진 : '3·1절 골프 파문'에 책임을 지고 노무현 대통령에게 사실상 사의를 표명한 이해찬 총리가 6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