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금치'가 아니라 '우금티'입니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동학농민전쟁을 기념하는 국가사적지(제387호)인 충남 공주의 '우금치사적지'의 명칭을 바로 잡자는 움직임이 일고있다.

16일 ㈔동학농민전쟁 우금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동학농민전쟁의 혼이 살아 숨쉬고 있는 공주 '우금치사적지'의 명칭을 '우금티사적지'로 변경해줄 것을 문화재청에 요청키로 했다.

이를 위해 지난달 23일 열린 우금티기념사업회 총회에서 명칭변경안을 만장일치로 결의했으며 명칭 변경을 위해 관련 고고학자의 자문과 문헌자료, 주민 증언 등을수집키로 했다.

'우금치'는 충남 공주에서 부여로 넘어가는 길에 있는 고개 이름으로 1894년 동학 농민혁명때 농민군과 관군의 최대 격전지이다.

이 고개에는 1973년 동학군의 영혼을 달래기 위한 위령탑이 세워져 매년 추모예술제가 개최되고 있으며 동학농민혁명 100주년이던 1994년에는 국가사적지로 지정돼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사적지 이름이 '우금티'라는 순수 우리말 대신, 일제에 의해 한자식으로고쳐진 이름인 '우금치'로 붙여져 있어 이 사적지의 역사성을 감안, 우금티로 바로잡자는 것이다.

또 주민들 사이에서 '우금티' 또는 '우금치'로 불리는 혼동도 없애자는 취지도 담겨있다.

원래 고개를 뜻하는 순수 우리말은 '티'나 '재'인데 한자에는 '티'를 적을 수 있는 글자가 없어 새로 만든 글자가 바로 '치(峙)'이며 일제가 측량을 거쳐 지도를 제작하며 모든 지명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우금티도 우금치로 붙여졌다.

우금티기념사업회 조동길 이사장(공주대 국어교육과 교수)은 "기념사업회에서는 오래 전부터 전문가의 고증을 거쳐 이 고개 이름을 우금티라고 불러오고 있다"며 "우금치라고 해서 어학적으로 틀린 것은 아니지만 지명의 역사성과 고유성을 살려 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